[학술논문] 북한의 대남 주도권 확보와 대남전략 행태
...대남전략에는 일정한 패턴이 있고, 이를 △대결전략, △대화전략, △병행전략, △관망전략으로 패턴화할 수 있다. 둘째, 북한의 ‘한반도 공산화통일’이라는 대남목표가 변하지 않는 한, 그를 수행하기 위한 대남전략 역시 불변이다. 셋째, 북한의 대남전략 결정요인은 ‘대남 주도권 확보’이고, 여기에는 강경한 방식과 온건한 방식이 있다. 위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본론에서 북한의 대남전략을 유형화 해, 이명박 정부 하에 적용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북한의 대남전략은 어떤 조건과 상황이 만족되면 4가지 패턴 내에서 반복된다. 즉, 이명박 정부 시기 5년 동안 북한은 4번의 대결전략, 1번의 대화전략, 2번의 병행전략, 2번 관망전략 등 총 9번에...
[학술논문] 남북대화의 전략적 선택구조: 2018년 4월 남북정상회담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2018년 4월의 남북정상회담을 중심으로 남북대화의 전략적 선택구조를 분석하고자 하는 목표를 갖는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상회담 개최 당시의 분석적 맥락과 행위자들의 전략적 목표를 검토하고, 남북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분석 틀을 활용하여 사례연구를 진행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18년 정상회담은 광범위한 지정학적 요인이나 국내적 압력보다는 주요 정치 지도자(문재인과 김정은)의 결정에 크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의 연구는 남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체제, 행위자, 의제 등에 집중하고, 국내외 요인의 복잡한 상호작용과 한반도의 지속적인 평화와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한 지속적 노력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또한 한국과의 관계를 매개로 미국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