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명어 후부요소 ‘덕(德)’의 지리적 분포와 특성 - 북한 지역을 중심으로
...화산폭발에 따른 현무암 분출이 대규모로 이루어진 개마고원 지역에도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GIS 연구 방법을 통해서는 덕 지명 분포와 지형 특성 파악을 시도하였으며, 북한 최대의 덕인 오수덕을 사례로 하였다. 북한의 ‘덕’ 지명을 통해서는 식생과 토양뿐만 아니라 농경, 목축, 광업 및 기와와 항아리 등 생활 관련 물품 제조 등 덕땅 이용 방식을 추적해 볼 수 있다. 군사 요충지에 위치한 덕에는 고구려~고려 시대 이래로 성을 쌓는 등 방어 시설이 들어섰다. 조선시대에도 성과 봉수대, 창고, 서당, 향교, 절 등이 덕에 세워졌으며, 성덕, 연덕, 창덕, 서당덕, 향교덕, 절덕 등의 지명으로 남아있다. 북한은 정권 수립 이후 규모가 큰 덕 지대의 마을 전체를 이주시킨 후 집단농장을 설치하였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