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광장에서 공원으로 : 5·16광장 변천의 공간사회학적 접근
5·16광장은 1971년 아스팔트 재질로 조성된 12만 평 규모의 초대형 광장으로,현재는 여의도공원으로 바뀌었다. 이 연구는 이처럼 특이한 대규모 광장이 어떻게 조성되었고, 어떤 과정을 거쳐 공원으로 바뀌게 되었는가를 탐구하려는 시도다. 선행 연구들은 정치 지도자들의 행태나 공간의 논리로 설명하려 했지만 그과정을 제대로 구명하지 못했다. 이 글에서는 공간과 사회의 관계에 주목하는 공간사회학의 관점에서 새롭게 접근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발견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 5·16광장의 조성에는 한반도의 준전시 상황, 근대화 등의 요인도 영향을 미쳤지만, 남북한 간의 체제경쟁이 결정적인 요인이었다. 여기에 권위주의적인 정치체제하에서 강력한 국가의 개입이 더해져서, 5·16광장은
[학술논문] ‘제한적 합리성’으로 본 북한의 대미 핵전략: 국제정세하의 핵 개발·억제전략을 중심으로
...대립은 맹목적이 아닌정확한 목표를 위해 작동되는 기제(機制) 또는 전략이 분명히 내재되어 있다고판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제한적 합리성(Bounded Rationality)’을 원용하여, 북한의 핵정책이 일정한 목적에 적합한 방식으로 작동되고 있다는 전제하에이를 설명하기 위해 ‘국제정세하의 변수(Variable)관계(종속, 준독립, 독립)’, ‘핵개발전략(도광, 편승, 균형)’, ‘억제(Deterrence) 전략(재래식, 최소, 응징적)’ 등3가지 분석 틀을 설정하였다. 본 논문은 이 분석 틀을 통시적으로 김일성 시기, 김정일 시기, 그리고 김정은 시기 등 각 정권별로 적용하여 북한 핵 개발전략의변동성을 검토하였다.
[학술논문] 유리건판으로 보는 북한 지역의 조선 후기 범종과 향로
...범종>, <귀주사 범종>(17세기 후반), 성불사 <강희30년명 범종>(1691), 장안사 <강희47년명 범종>(1708), <도광10년 경인명 범종>(1830)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범종들은 명문과 양식을 통해 주종장을 추정할 수 있었다. 석왕사 <숭정6년명 범종>(1633)은 天宝, 성불사 <강희30년명 범종(1691)>은 智俊과 太行, <귀주사 범종(17세기 후반)>은 思印, 장안사 <강희47년명 범종(1708)>은 李海俊과 剋連, <도광10년 경인명 범종(1830)>은 李萬郁과 張敏喆 등이 제작에 참여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장인명을 확인할 수 없었던 석왕사 <순치5년명 범종>은 양식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