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아동문학 판타지의 통일담론 연구
...아동문학작가 강소천과 리원우의 작품에 나타난 문학적 세계관을 통해 남북한 통일담론의 차이를 포착하여 현재 남북한 문화감정구조의 동질성과 이질성에 대한 역사적 유래를 확인함과 동시에 향후 통일 시대 문화적 통합의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했다. 휴전 다음 해인 1954년 남한과 북한에서 출판된 두 작품, 즉 강소천의 <꿈을 찍는 사진관>과 리원우의 <도끼장군>이 현재 남북한의 통일담론의 동질성/이질성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아동문학 판타지 작품으로 판단되어 본고의 분석텍스트로 선택하였다. 휴전 이래 지금까지 60여 년 동안 각 체제의 정치철학적 세계관이 추진해 나간 통일론의 문화인식론적 방향은, 남한이 내부 치유를 통한 민족통일론으로, 북한이 외세 대항을 통한 민족통일론으로 진행되었던 바, 그...
[학술논문] 통일 한국의 국어교과서 제재로서 북한 아동문학 고찰 - 우화, 동화, 아동소설을 대상으로 -
본고는 교육적 관점에서 북한의 아동문학 작품을 검토하여 통일 한국의 국어 교과서 집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치성과 교재화 가능성을 제재 선정을 위한 준거로 삼았다. 북한 아동문학 중 서사양식에 해당하는 우화, 동화, 아동소설을 대상으로 하였다. 현실적인 제약으로 통일부 북한자료센터에 소장된 작품들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귀남이」,「달빛에 번쩍이는 검」,「백화동의 청자기」,『도끼장군』,「얼뜨기와 꾀돌이」,「뿔난 너구리」,「반달곰의 뚝심」등이 통일 교과서의 제재로 활용될 여지가 있음을 밝히고 교재화 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