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양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태도: 『민족문화유산』에 나타난 평양 소재 문화재 기사를 중심으로
...특성과 역사인식을 분석하여 북한의 평양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고찰해보았다. 그 결과는 세 가지 갈래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상원검은모루유적을 통해 대동강유역을 인류문명발상지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단군릉발굴을 통해 한반도 최초국가의 시조왕의 실재를 밝히고 이 일대를 크게 개건함으로써 평양이 북한의 중심일 뿐 아니라 인류의 발원이 이뤄진 성스러운 지역으로 인식하는 태도를 가지고 있다. 이들을 연결하여 세계최초 고대국가가 발원한 세계5대 문명발상지 중 하나로 ‘대동강문화’를 주장한 점이 주목할 만하다. 셋째, 고구려 고주몽의 무덤이 평양으로 옮겨왔고 그것이 현재 동명왕릉이라 주장하며 평양을 대대로 한민족의 역사적 계승지로서 정체성을 갖게 하였다. 도시 문화재에 대한 고찰은 도시연구의 내용을...
[학술논문] 중국과 일본에서 저술된 한국현대문학사의 한국전쟁 인식과 문학사 기술양상 -허쩐후아의 『조선현대문학사』와 사에구사 도시카쓰의 『한국문학을 맛보다』를 중심으로-
고는 중국과 일본에서 저술된 한국문학사 중에서 허쩐후아의 『조선현대문학사』와 사에구사 도시카쓰의 『한국문학을 맛보다』를 중심으로, 각국의 한국전쟁 인식과 이에 기반한 한국전쟁문학의 특징적 기술양상을 고찰하였다. 먼저 허쩐후아의 『조선현대문학사』는 한국전쟁에 대한 중국의 기본인식이 충실히 반영된 문학사로, 기본적으로는 북한문학사의 시기구분과 주제 분류에 바탕을 두면서도 주체사상에 기반한 유일사상체제와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중조우의(中朝友誼)’를 내세운 국제주의적 친선과 ‘항미원조전쟁(抗美援朝戰爭)’으로서의 한국전쟁의 위상, 인민대중의 혁명적 영웅주의와 애국주의를 강조하는 입장을 취한다. 즉 한국전쟁에 있어서 중국과 북한의 정치적 결속 및 역사적 상관성, 한국전쟁에서의...
[학위논문] 경제위기 이후 북한 농업부문의 계획과 시장
...파악한 결과, 경제위기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거나 미약하였던 농업 관련 제반 시장이 새롭게 만들어져 성장하고 있다 농산물 소비재시장(곡물시장, 채소시장, 축산물시장, 과일시장), 농업 및 비농업 생산재시장(영농자재시장, 식품원료 및 식자재시장)이 생겼으며 점차 커지고 있는 것이다 도시의 구매력 향상에 따라 다양한 먹을거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자가소비를 목적으로 생산하던 농산물을 남에게 팔기 위한 ‘상품’으로 인식함으로써 수요를 겨냥한 공급 확대 등 중요한 변화가 나타난 것이다 농촌의 구매력도 커지면서 영농자재 시장의 수요와 공급이 늘고 있다 제반 시장들은 모두 수요와 공급에 따라서 가격을 형성하고 유통구조 또한 점차 고도화하고 있다
북한 농업부문 계획과 시장의 공존 양태에서...
[학술논문]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북한 올림픽 응원단의 노블티와 올림픽 인게이지먼트의 영향: 국내 대학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이 개최도시인 평창의 도시 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본 연구이다. 올림픽 인게이지먼트라는 개념과 올림픽에 대한 기능적 태도와 쾌락적 태도를 핵심적인 매개 변인으로 활용하여 선행요인인 북한 응원단의 노블티 인식과 결과요인인 평창에 대한 도시 태도에 미치는 영향성을 연구모델화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북한 응원단에 대한 노블티 인식은 올림픽 인게이지먼트를 높여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올림픽 인게이지먼트는 이후 평창 올림픽에 대한 기능적 태도와 쾌락적 태도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기능적 태도와 쾌락적 태도는 평창이라는 도시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북한 응원단 노블티가 평창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발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