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방송이나 신문 등에 등장하는 북한의 예술은 우리의 그것과 많이 다르다. 이 책은 북한의 예술이 어떤 역사적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는지, 어떤 사상을 담고 있는지, 그 가치를 어떻게 인정받고 있는지를 이야기한다.
☞ 스토리 라인
이 책은 폐쇄된 북한사회의 전체상을 시각예술이라는 문화적 코드에 맞춰 펼쳐 보인, 일종의 미술 사회학 서적이라고 볼 수 있다. 현재 북한은 날로 변화하는 세계 정세 속에서도 부동을 고수하고 있다. 또 최근 몇 년에 걸쳐 예술 활동에 활기를 부여했음에도 그 단편적인 행모만을 일방적으로 전할 뿐, 전모를 파악할 만한 전면적인 개방은 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저자는 남북한 양쪽의 정황을 객관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며 북한의 현대사를 서술하고 있으며,...
[사회/문화]
...인물과 단체
《조선공산당 평전》에는 조선 말기부터 해방까지 이르는 우리 근대사 속에서 독립운동과 진보정당 운동, 노동자와 농민들의 투쟁과 관련된 굵직한 사건들이 구체적으로 서술되어 있으며, 오랜 기간 제대로 조명받지 못한 인물과 단체 들이 대거 등장한다.
19세기부터 시작된 조선인들의 러시아 이주와 그들이 조국의 독립을 위해 진행한 학교 설립, 신문 발행, 군대 조직의 활동상들이 본격적인 조선공산당 창당에 앞서 비중 있게 소개된다. 또한 상해임시정부에 비해 잘 알려져 있지 않은 1919년 4월의 한인사회당 창당과 독립운동 진영을 파탄으로 몰고 간 코민테른 자금 200만 루블 사건 역시 관심을 끌 만한 것들이다. 러시아 공산당 주최로 이르쿠츠크파가 준비한 극동민족대회와 이 대회에서 추진이...
[통일/남북관계]
...바둑(世事棋一局)일뿐”이란 짧지만 강렬한 명구를 남겼다. 바둑게임의 특성과 인간 세상과의 관계를 이토록 간명하게 갈파한 선현은 없었다. 사회 구석구석에 바둑용어가 스며들지 않은 곳이 없고, 주변 만물의 생멸(生滅) 과정 모두가 한판 바둑의 흐름을 빼박았다. 우리네 삶을 둘러싼 여러 방면의 다양한 세계들이 아주 기본부터 바둑용어와 만난다. 하루도 빠짐없이 신문 정치면, 사회면 헤드라인은 정수(正手), 꼼수, 악수(惡手), 헛수, 암수(暗手), 강수(强手), 초강수(超强手), 자충수(自充手), 묘수(妙手), 독수(毒手), 무리수(無理數), 승부수(勝負手)…등의 바둑 용어가 장식한다. 수(手)싸움, 수(手)읽기, 초(秒)읽기도 바둑에서 온 말들이다. 대중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필자는 우리가 흔히...
[학술논문] 한국 전쟁기 천주교회와 공산 정권 ―초대 주한 교황사절 번 주교(Bishop Byrne)를 중심으로―
...냉전에서 공산 정권은 주요한저항 세력인 천주교회를 적대 진영으로 간주하여 공격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황 비오 12세는 1947년 4월 7일자로 번 주교를 교황특사로 한국에 파견하였다. 한국 천주교회와 정치인은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기도 전에 교황청이 교황사절을 파견한 것은 한국을 독립 국가로 승인한 정의의 결단이라며 환영하였다. 남한만의 단독 총선거도미군정과 유엔, 그리고 천주교회의 긴밀한 교류 속에 이루어졌다. 미국의 교회 관련 신문과 잡지에는 대한민국이 천주교회의 축복 속에 탄생하였다는 보도가 잇따랐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은 무신론 공산주의에대한 승리로 규정되었다. 번 주교는 대한민국이 민주주의 국가로 수립된 것을 하느님의 섭리로 이루어진 도덕적 결과물이라고 강조하였고,국제 사회에서 대한민국 정부가 한반도의...
[학술논문] 1950년대 재미한인 『독립』그룹의 非美활동조사위원회(HUAC) 청문회 소환과 추방
The Korean radicals who gathered around the Korean Independence news during the Pacific War maintained anti-Syngman Rhee position after Korean liberation. They opposed the policies of the United States Army Forces in Korea (HUSAFI) during the U. S. occupation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South Korean government in 1948. They supported North Korean regime. After the outbreak of Korean War, the U
[학술논문] 하이퍼매체성의 관점에서 본 한국 신문사 영어 홈페이지의 정체성과 목적
...Leeuwen)1)이 제시한 의미 형성 장치를 기반으로 고찰하고 이를 통해 형성되는 각 기호 요소 간 의미 관계를 렘케(Lemke)2)가 정리한 개념을 바탕으로 분석해보았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홈페이지의 정체성과 관련해 분석대상 신문사 모두 영어 홈페이지가 한글 홈페이지에 종속되어 있는 것처럼 제시하고있었는데, 이는 각 신문사가 영어 홈페이지에 독립적인 웹사이트로서의 정체성을 부여하고 있지 않음을, 나아가 영어 번역 서비스에 관심은 있으나 한국어 온라인 뉴스 서비스만큼 중시하지는 않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그럼에도 불구하고이들 신문사는 영어 홈페이지 자체를 운영하는 데 있어서는 대체로 목표 독자를 분명하게 설정한 뒤 하이퍼매체 수단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이들을 유치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학술논문] 영국 언론에서의 한국 보도 기사 분석: The Times와 The Guardian을 중심으로(1945-2014)
... 출처 및 한국 특파원 등을 통해 기사가 작성되었는지 등에 관해 분석하였다. 빈도 분석을 통해 두 신문 모두 정치 분야 기사가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최근으로 올수록 경제, 스포츠, 사회, 기타 분야의 주제들도 다양하게 다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논조와 국가이미지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다소 부정적인 경향이 있었지만 사회 분야와 정치 관련 기사가 더욱 부정적이었다. 기수별로는 타임즈의경우 4기와 가디언의 경우 3기에서보다 부정적인 기사 비율이 높았으며 긍정적인 기사수는 적긴 하지만 타임즈와 가디언 모두 6기에서 다소 높았다. 두 언론의 한국 관련 기사보도 추이와 내용들을 질적으로 보았을 때, 먼저 타임즈는독립과 한국전쟁 발발 시기부터 이미 한국과 관련한 정기적인 특집기사를 통해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학술논문] 권태휘의 생애와 민족운동
...생애와 활동에 대한 글이다. 신문, 정보문서, 신문조서, 판결문, 족보, 발간서적 등을 통해 그의 민족의식의 형성과 민족운동, 구체적으로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과 사회운동, 해방 후의 정치활동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권태휘는 1897년 진위군 북면 가곡리 331번지에서 출생하였다. 그의 신분은 양반이었고, 경제적으로 부유한 편이었다. 키가 작고 피부도 고왔지만, 그의 항일의지는 남과 달리 강하였다. 그는 봉명학교와 경성의전을 다니면서 민족의식과 항일의식을 형성하였다. 특히 그는 1918년 제1차 세계대전의 종전을 전후하여 국내외에서 독립운동을 추진하고, 경성의전의 선배와 동료들이 3ㆍ1운동을 주도하고 참여하는 것을 목격하거나 인지하고 독립운동에 참여하기로 결심하였다. 그는 서울에서 독립만세시위를 전개하였고, 3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