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국지도발의 성향분석과 동맹협력
본 논문은 군사정전위원회의 자료를 계량화하여 북한 국지도발의 성향을 정량적으로분석하고 이에 대한 동맹협력의 방안을 제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정량모델의 결과 북한의 국지도발은 북한의 경제상황, 한국의 단일선거, 핵위기 변수와는 음의 상관관계를,핵개발, 한국 동시선거 변수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경제상황 악화로 야기되는 내부불만을 외부로 전환시키고자 하는 목적이 북한의 국지도발 행태를 결정하는 저변동인이 될 수 있음을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핵개발과 함께 증가되어온 국지도발의 빈도수가 핵위기 시에는 감소하는 결과는 북한이 국지도발을 감행함에 있어 미국과의 군사적 충돌까지 이를 수 있는 위기 상승은 통제를 하고있다는 것으로 분석을 할 수 있다. 현재 북한이 추구하고...
[학술논문] 김정일 시대 북한의 대남기동성 정치에 관한 유형화 연구: 한미동맹 요인을 중심으로
...동안의 북한이 핵역량을 강화하려는 시도는 국제관계에서 약소국이 강대국을 상대로 외교적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국가이익을 확보하는 약소국의외교적 기동성에 해당한다. 김정일 시대에서 한미동맹은 협력과 갈등을 반복하면서 북한의 대남기동성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에 따르면, 김영삼 정부가 선택한 대북 강경노선은 한미갈등을 유발하고 북한이 ‘통미봉남’ 전략을 구사하면서 저항형 배제를 통해 기동성을 발휘하였고, 대북온건노선을선택한 김대중 정부에 대해서는 미국의 정권교체에 동반된 한미동맹과의 협력과갈등에도 불구하고 순응형 협력행태를 통해 실리추구형 대남기동성을 확보할 수있었다. 그러나 대북 온건노선을 주장한 노무현 정부에 대해서는 한미갈등을 기반으로 순응하면서도 저항하는 병행적...
[학술논문] 한반도 위기관리를 위한 한일 GSOMIA의 군사외교적 고찰
...찾고자 하였다. 북한의 핵과미사일 위험은 점증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의 심각한 안보위협으로 작용하여 위기관리가 절실한시점이다. 이는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에게도 공동의 위협이 된다.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추구하는 이념이 유사할 경우 공동의 적에 대해 동맹의 체제를 유지하며 위협에 대비하는 게 일반적이다. 국가는 국제체계 속에서 자국의 국력을 고려하여 동맹과 협력을 선택하며 대응해 나간다. 북한의핵과 미사일 위험이 점증하고 있는 불안한 안보상황을 고려 시 북한과의 대화와 타협도 중요하지만, 군사적 대비를 통해 위기관리를 해나가야 한다. GSOMIA는 동맹국들 사이에서 체결하는 협정이며많은 선진국들도 체결해왔고, 또한 유지하고 있다. GSOMIA는 양국이 상호 규정된 방법에 의해 정보교환을 원활히 하면서, 군사협력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