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반도 주변 국제지형의 현상변경 가능성: 북한의 4차, 5차 핵실험과 미⋅중 변수를 중심으로
한반도를 둘러싼 정세변화의 유동성이 증대되어 기존의 질서가 근본적인 변환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의 입장에서는 국제 환경의 변화에 따른 적응과 발전을 위한새로운 활로의 방향성이 안개 속에 놓여 있다. 특히 2016년 연이어 감행된 북한의 4 차, 5차 핵실험과 미국과 중국의 관계 변화가 동북아 세력질서의 현상유지를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공유하면서 우선, 한반도 정세의 동태성이라는 차원에서 최근의 북한 핵 문제에 따른 한반도 주변 정세의 불안정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둘째는, 동북아 정세 변화의 중요한 변수로서 미중관계의갈등적 변환 가능성의 중요한 요소들을 짚어본다. 또한 동북아 정치지형의 불확실성이커지면서 나타나고 있는 질서 변화의 양태에 대하여 살펴본다....
[학술논문]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정책과남북 교회 교류 전망
최근에 들어서 북한 핵과 미사일 문제로 한반도를 비롯한 동북아 정세가 요동을 치고 있다. 북한의 비핵화 상황 전개에 따라 남북 관계 및 교회 교류는 지금까지와는 달리 새롭고 급격한 방향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한반도 문제가 급변하게 된 변화의 추동 배경을 살펴보면 북한의 대외 정책 결정이 주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그동안 북한이 취해왔던 기존의 대외정책 노선에서 벗어나 김정은 시대의 새로운 노선을 취하고 있는 것이 향후 북한이 남북 관계 및 국제 관계에서 중요한 변환 의도를 시사해 주고 있다는 점에 우리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 북한 사회의 변화를 추동하고 있는 대외정책 의사 결정 구조와 동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토대로 남북 관계 및 남북 교회 교류에 미치는 영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