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핵문제에 대한 정치철학적 접근: 평화적 해결원칙을 도출하기 위하여
이 글은 북핵문제를 정치 또는 사회철학적으로 새롭게 정의함으로써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단초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반도의 평화와 역내 안정을 위해 북핵문제를 우회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전쟁을 통한 해결이 아니라면 그 어떤 형태로든 정치협상과 타협이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이 글은 지난 20년간 진행된 북핵문제를 둘러싼 북미협상과정에 대해 정치철학적 관점에서 재검토한다. 핵무기를 인간욕망의 정치의 산물로 이해함으로써 역설적으로 그것에 대한 정치적 해결 역시 가능함을 이해한다. 북핵문제에 대한 평화적 해결이 불가피하다면,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선 북핵문제 그 자체로부터 도출된 동시행동과 적절한 보상이라는 두 가지 정치적 해결원칙의 적용을 일관되게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학술논문] 문재인 정부의 평화우선주의와 비핵평화 프로세스
...6·12 북미공동성명 이후 비핵평화 프로세스가 정체국면에 빠진 것은 합의내용을 둘러싼 해석 차이와 ‘오독’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평화체제 구축문제와 완전한 비핵화문제는 ‘단계별 동시행동원칙’에 따라 포괄적으로 일괄타결할 의제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합의 내용을 연계된 포괄적 의제로 보지 않고 ‘4개의 기둥’이라고 하면서 완전한 비핵화 우선론과 제재유지론을 펴면서 북핵협상이 교착국면에 빠졌다. 북한은 단계별 동시행동원칙에 따라 비핵평화 프로세스를 작동시키지 못하면 비핵화 결심을 하고 선제적이고 주동적으로 불능화 조치를 취한 김정은 위원장의 리더십에 손상을 초래할 것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현상유지정책을 선택하지 못하게 하려면...
[학위논문] 북한 핵정책의 지속성과 변화에 대한 연구(1991~2018) : 실존적 억지에서 최소억지로
...'단계별 동시행동 원칙에 의한 선 관계정상화’의 대립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방법의 차이는 과거 합의가 파기 되었던 것에 대한 불신, 북미가 이행 해야 할 조치의 성격(등가성, 비대칭성, 불가역성)차이에 기인한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원칙인 CVID는 현실적으로 북한의 적극적 협조가 없으면 실현 불가능하다. 북한의 자발적인 ‘공개적 핵확산 중단’과 정상 간의 의사소통을 바탕으로 진행되는 ‘독특한 방식’의 핵협상은 전통적인 동결-신고-검증-폐기의 단계를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북한은 자발적인 ‘선의의 조치’로 미국의 ‘상응하는 조치’를 유도하는 ‘단계별 동시행동’ 원칙을 추구함으로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