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미동맹과 조중동맹의 제도화 경로: 국가형성기 국면별 접근을 중심으로
이 연구는 남한과 북한의 국가형성기 한미동맹과 조중동맹의 제도화 경로를 분석한다. 2015년 현재 각각 62년, 54년째 지속되어오고 있는 한미동맹과 조중동맹은 한반도와 동북아 지역질서를 틀 지우고 있다. 이 연구는 남한과 북한이 ‘내부적 국가형성’과 ‘외부적 국제관계’에 따라 서로 다른 동맹의 제도화 경로를 경험해왔음을 밝힌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남한과 북한의 국가형성기와 전쟁 전후의 결정적 국면을 중심으로 분석하면서, 동맹의 제도화에 촉진 또는 지체 요소로 작용했던 국가 외부적 배열구조로서의 동북아 지역질서에 대해 분석한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한미동맹과 조중동맹의 제도화는 남한과 북한의 국가 성격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서로를 적대시 하는 동맹의 존재는
[학술논문] 동아시아 지역 구조와 한반도 경제협력: 한반도경제의 네트워크 분석
...경제협력 모델을 구상해 보고자 했다. 글로벌 경제 네트워크 중심부에 미국이 있고, 중국은 아시아 · 아메리카 네트워크에서 중심적 위치에 있다. 한국은 아시아·아메리카 네트워크의 반주변부에 있고, 북한은 네트워크의 외곽에서 고립되어 있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 속에서 중국을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가 확대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추세속에서 남북 네트워크와 동아시아 · 태평양 네트워크를 복합하는 것이 ‘한반도경제’의 네트워크 전략이 될 수 있음을 논의했다. 남북한이 동남아와 네트워크 공간을 형성하여 발전의 성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태평양 지역 국가와 사람 대 사람의 연결을 강화하면 기존의 동아시아 발전 모델을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