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정은 체제 구축을 위한 북한의 정치사회화에 관한 연구
...있다. 여기에는 김정일의 숭고한 위국․위민이 담겨있다고 하면서, 구호나 깃발이 아닌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로켓위성발사와 핵실험이라는 극단적인 행위도 김정일 유훈의 실현이라는 미명아래 실행하였다. 이는 김정은 자신의 강건함과 위상을 국내외에 보여주면서, 인민들에게 자긍심을 갖게 하고 ‘수령결사옹위’로 결집시키려는 것이다. 전국 각지에서 성공기념대회를 개최하여 인민적 지지를 끌어내고 있다. 북한 정치사회화 특성 중의 하나는 동원적 지지이고, 이는 사회통제를 의미하는 것이다. 정치사회화의 헤게모니이론에서 말하는 억압적 사회통제기제를 강하게 작동하여, 북한의 정치사회를 획일화시키고 있다. 이것은 인민들의 자발적 지지가 아니라 면종복배의 결과로 나타나 정치사회화의 한계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학술논문] 김정은 유일영도체계의 확립과정과 함의
...확립을 위한 중요한 대목이었다. 셋째, 김정은이 보여준 정치행태는 그가 말하는 ‘인민속으로’라고 볼 수 있다. 김일성-김정일주의로 온 사회를 충만 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김정일애국주의’를 내세웠다. 김정은이 유일영도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인민통합이 필요했고, 자신의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업적을 활용하여 인민들의 동원적 지지를 이끌어 내려는 것이다. 북한이 김정은 유일영도체계를 확립하는 것은 안정적인 체제유지를 위한 제1과제이다. 김정은은 김일성과 김정일에 이어 3대 수령이 되고, 모든 인민들은 ‘수령결사옹위’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으로 김정은 체제를 확고하게 다져나갈 수 있을지, 아니면 다른 변수를 파생할 요인이 될 것인지는 미지수다.
[학술논문] 김정은 시기 과학기술교육정책의 특징과 정치적 함의
...부합되는 교육내용과 방식 및 교육환경 개선 등 일련의 교육개혁은 창의적인 인재들이 지식경제강국 건설에 매진하는 발전국가로의 전환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일련의 교육개혁은 기존 체제안정 및 유지라는 프레임 속에 추진되고 있어 성과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 즉 김정은 정권의 지식경제강국건설론은 대외개방과 자율성의 허용이 전제되는 것이나 사상성이 투철한 전문가들이 자립적인 경제발전에 이바지하며, 인민동원적 지원방식에 의존하는 일련의 교육개혁은 일정정도 한계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그런 가운데서도 김정은 식 과학기술⋅경제강국에 대한 비전 제시와 일련의 시도들은 주민들에게 발전국가, 강성국가건설에 대한 희망부여와 함께 애민, 위민의 지도자로서 자리매김 등의 정치적 기능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