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러시아의 동진(東進)전략과 대한반도 정책 연구: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국제 전략환경의 변화를 배경으로
2000년 푸틴정부가 출범하면서 러시아는 대한반도 균형정책을 통해 남한과 북한에서 과거의 위상을 회복해 나갔다. 대한반도 균형정책은 러시아 극동지역에서 평화와 안정을 유지함으로써 극동지역 발전에 필요한 주변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 러시아의 의도에 부합한다. 그러나 2014년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 러시아의 대외전략, 좁게는 대한반도 정책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 서방과 미국의 대러시아 제재는 러시아를 국제사회로부터 고립시키면서 상대적으로 러시아의 전통적 동맹국과의 접근으로 귀결되었다. 이러한 상황전개는 북한의 외교지평 확장으로 이어지면서 동북아 및 한반도 전략지형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러시아와 서방의 대립이 장기화되고 러시아의 고립이 심화된다면, 동북아와 한반도에서 전통적 동맹국으로서 북한의 가치는
[학술논문]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의 10년 평가와 전망 : 동북3성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중국 동북 3성의 일대일로 정책 10년을 평가하고 전망하였다. 중앙정부의 일대일로 정책에 협력하기 위해서 동북 3성은 각자 기존의 지역발전전략을 발전시켰다. 일대일로 정책이 2018년 이후 기존의 서진전략에서 동진전략을 병행하기 시작하면서 동북3성에게는 새로운 기회로 다가왔다. 동북 3성은 지난 10년간 중앙정부의 일대일로 정책에 적극 협력하여 왔다. 랴오닝성은 지리적 이점과 경제적 여건을 바탕으로 일대일로의 효과를 가장 많이 누리고 있다. 지린성은 기존의 동북진흥정책, 창지투개발선도구사업, 광역 두만강 개발계획 등을 일대일로에 연계시켰다. 헤이룽장성은 대러시아 협력을 중심으로 중앙정부의 일대일로에 협력해 왔으며, 향후에도 중요한 위치를 선점할 것으로 예상된다. 동북 3성중에서 랴오닝성이 긍정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