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사회 문선명 선생의 다문화평화주의
최근 들어 ‘다문화’는 우리에게 매우 익숙한 용어가 되었다. 우리 사회가 그만큼 다문화·다인종·다언어 형태로 변모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우리나라도 외국인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자들의 지속적인 국내 유입으로 이제는 단일문화사회에서 다문화사회로 점차 바뀌어져 가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다문화사회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국제결혼 역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다문화는 다문화의 개념조차 굴절되어 있으며 시혜나 복지의 대상으로 여기고 있다. 범위도 정립되지 않은 상태라 탈북자 즉, 북한이탈주민까지 포함시키고 있는 상태이다. 정부에서의 다문화에 관련 지원책도 일괄적이고 통일되어 있지 못하며, 다문화가정에 관한 편견과 차별은 무엇보다 그들을 힘들게 하고 있다. 최근에는
[학위논문] 탈북 청소년 커밍아웃 체험에 관한 해석학적 근거이론 연구 : “나는 북한에서 왔습니다”
...이주민보다 ‘비가시적 낙인 정체성’을 가진 탈북 청소년이 더 고민하는 문제이며; 이러한 결과는 탈북 청소년의 이주와 정착 문제에 개입할 때 다른 이주배경 청소년과는 다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탈북 청소년 정책은 통일 후 사회통합이라는 큰 틀에서 논의해야 하는 특별한 주제다. 이에 따라 탈북 청소년 정책 개발에 있어서 동화주의에 입각한 현행 정책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다문화 담론에 대해 재 논의하는 것이 필요하며; 실천 현장에서도 탈북 청소년의 상황과 욕구; 강점에 초점을 맞춘 개입이 요구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탈북 청소년의 커밍아웃은 자아 정체성 발달과 관련한 문제이고 일정한 단계가 있으며; 탈북 청소년이 이 과정에서 겪는 정체성의 혼란과 심리적...
[학술논문] 초국적 이주의 시대, 북한 이주민의 이주자본과 상호문화주의
...모빌리티는 복잡한 연쇄적 이동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모빌리티를 이주에 관한 열망/능력모델을 보완하는 이주자본 개념으로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뉴몰든의) 북한 이주민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참고하여 북한 이주민의 초국적 이주를다양한 국경을 넘나드는 지속적 이동과 지속적인 사회적·경제적·문화적네트워크 형성 및 유지로 파악하고, 이들의 이주 열망과 이주 능력을 이주자본으로 통합하여 포착한다. 나아가 본고는 뉴몰든 지역을 일종의 접촉지대로 설정하여 여기에서 일어나는 북한 이주민, 재영 한국인과 조선족, 영국선주민의 접촉을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초국주의가 동화주의에 이의를 제기하고 상호문화주의를 비판적 상호문화주의로 확장하는통찰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