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학술논문] 유엔기구의 대(對)북한 접근의 시사점: UNDP와 FAO/WFP를 중심으로
국제적으로 고립되어 있는 북한과 국제기구와의 교류는 제한적이지만 UNDP와 FAO/ WFP 등 일부 유엔기구는 북한 내부에서 여러 가지 사업을 벌여왔다. 199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UNDP의 두만강개발계획은 북한을 포함한 관련 국가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공동의 발전을 도모하였다. 그러나 UNDP가 사업의 주도권을 개별 국가로 전환시킨 이후 사업의 추동력이 약화되고 국가들 사이의 이해관계가 충돌하여 결국 북한의 사업 탈퇴를 초래했다. 한편 FAO/WFP는 인도적 차원에서 북한에 대한 식량지원을 지속하고 있으며 북미관계의 악화에도 불구하고 북한과의 관계를 유지하였다. 하지만 사업의 범위가 인도적 지원에 국한되고 재정적으로 미국의 후원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북한의 변화 및 한반도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국제기구 #북한 #유엔개발계획(UNDP) #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계획(WFP) #두만강유역개발사업 #조한승
저자 : 김선래[1963-] | 출판사: 용인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러시아연구소, 20151201
저자 : 신영석 | 출판사: 서울 : 평화문제연구소, 199611
저자 : 장영 | 출판사: 서울 : 북한연구소, 199408
저자 : 연구진: 김천규,이상준,임영태,이백진,이건민 ;외부연구진: 김원배,하성덕,임강택,장형수,원동욱,명수정 | 출판사: 국토연구원
저자 : 박우[1982-] | 출판사: 대구 : 만주학회, 20200430
(저자: 허학철) | 출판사: 昌原大學校 大學院
(저자: 김예지) | 출판사: 서울대학교
(저자: 추이위안) | 출판사: 서울시립대학교
(저자: 리하이롱) | 출판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저자: 정소민) | 출판사: 中央大學校 大學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