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친구처럼 다정히…푸틴·김정은 '리무진 밀착대화' 영상 공개
(모스크바=연합뉴스) 최인영 특파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3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에서 만나 친근한 분위기로 밀착 대화하는 영상이 공개됐다.
러시아 국영방송 전러시아 국립 TV·라디오 방송사(VGTRK) 소속 파벨 자루빈 기자는 8일 자신의 텔레그램에 푸틴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비공개 대화를 나누는 영상을 게시했다.
[뉴스] 軍, 대북 라디오 방송 '자유의 소리'도 15년 만에 중단
(서울=연합뉴스) 김철선 기자 = 국군이 제작·송출해온 대북 심리전 방송 '자유의 소리' 라디오 방송을 1일부로 전격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방부는 이날 공지를 통해 "남북간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자유의 소리 방송을 중지했다"고 밝혔다.
[뉴스] 위성락 "北 굉장히 소극적…대화 기대 높이지 않는 게 건설적"
(서울=연합뉴스) 고동욱 기자 =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29일 한미정상회담 이후 북미·남북미 대화 가능성이 제기되는 것과 관련, "현실적으로 대화 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높게 잡지 않는 것이 오히려 건설적"이라고 말했다.
위 실장은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지금은 북한이 우리는 물론 미국과 대화도 하려는 의지를 내비치지 않는 상황이 아니냐"며 이같이 밝혔다.
[뉴스] 김정은 "북러관계 전면적 개화의 새 시대"…푸틴과 광복절 축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조국해방의 날'로 부르는 광복절 80주년을 맞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축전을 교환했다.
15일 북한 관영라디오 조선중앙방송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축전에서 80년 전 북러가 함께 일본의 식민통치를 끝냈다며 "중요한 것은 오래전 전화의 나날에 굳건해진 전투적 우의와 친선 호상(상호) 원조의 유대가 오늘도 공고하고 믿음직한 것으로 남아 있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뉴스] [광복 80년] ③ 해방과 함께 찾아온 분단…여전히 먼 통일
(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 = 한반도가 일제의 억압에서 벗어난 지 80년이 지났다.
1945년 8월 15일 정오. 일왕 히로히토가 라디오를 통해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며 온 겨레는 그토록 갈망하던 광복을 맞았지만 해방의 기쁨은 찰나였다.
[통일/남북관계]
극동방송 ‘남과 북이 하나 되어’ 프로그램의 매주 화요일 코너 ‘주체사상과 기독교’에서 방송된 내용을 한 권의 책으로 정리했다. 2014년 한 해 동안 이 라디오 방송은 전국에 극동방송 FM으로 송출되었을 뿐만 아니라 AM1188kHz, AM1566khz 전파를 통해 북한 전역과 중국의 동포들에게 방송됐다. 이 책은 3부로 나누어 대담 질문과 답변 형식으로 구성돼 주체사상을 이해하고 있다.
1부 ‘주체사상, 이런 것입니다’에서는 주체사상을 기독교적 시각에서 어떻게 이해했는지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2부 ‘주체사상,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에서는 주체사상을 건물의 건축 비유를 통해 조금 더 심도...
[법/인권]
.../>
○첫째, 미국의 북한인권법은 2004년 10월 대통령이 서명함으로써 발효되었으며, 북한주민의 인권증진(TITLEⅠ), 어려움에 처한 북한주민의 지원(TITLEⅡ), 북한난민의 보호(TITLEⅢ)로 구분하여 다양한 내용을 규정하고 있음
-북한주민의 인권증진(TITLEⅠ)에서는 인권 및 민주주의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102조), 대북 라디오 방송(제103조), 정보 자유화 촉진을 위한 조치(제104조), 북한인권특사(제107조) 등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음
-어려움에 처한 북한주민의 지원(TITLEⅡ)에서는 북한 내부에 제동되는 지원(제202조), 북한 외부에 제공되는 지원(제203조) 등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음
-북한난민의 보호(TITLEⅢ)에서는 난민 및 망명자에...
[법/인권]
...더 가혹하다.
북한에서 외국 라디오 청취는 금지되지만 여전히 라디오는 북한 주민이 외부 방송을 접하는 주된 매체다. 북한에서 가장 많이 듣는 대북 방송은 미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 자유아시아방송과 미국의 소리, 그리고 KBS의 한민족방송이다. 이외에도 탈북민이 주도하는 NGO들도 여러 지원을 받아 라디오 방송을 운영한다. 북한 주민이 외국 라디오를 가장 많이 듣는 시간대는 단속반이 들이닥칠 가능성이 적은 자정부터 새벽 2시까지다. 이를 고려해 대북 방송은 주로 밤 시간에만 방송을 송출한다. 북한은 전파 방해를 통해 외국방송의 수신을 막으려 하지만 전파 방해는 상당한 전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에너지난에 시달리는 북한으로서는 쉽지 않다. 그런 점에서 라디오는 북한에 외부정보를 전달하는 데 여전히 유용한...
[학술논문] ‘미국의 소리(Voice of America) 한국어방송’의 변화와 그 원인(1953~1973)
...contemplates upon the dimension of changes the Korean Serviceof Voice of America (VOA) went through and its causes, starting from the KoreanWar Armistice until the removal of the relay broadcasting of Korean radio stations. VOA, the U.S. government propaganda machine, was successful at some degreein deeply permeating anti-communism and pro-Americanism into the consciousnessand attitude of Koreans. Despite of...
[학술논문] 한국전쟁기 ‘미국의 소리(Voice of America) 한국어방송’에 관한 연구
본고는 한국전쟁기에 한국인을 대상으로 선전방송을 하였던 미국의 소리(VOA) 한국어방송에 관한 실증적 연구이다. 미국정부는 전쟁 승리, 반공 확산, 대외정책의 홍보, 미국문화의 전파라는 큰 목표 아래 VOA를 운용하였다. 특히 한국어방송은 전쟁 승리를 위한 반공 메시지의 전파를 가장 주요한 임무로 삼고, 3년 동안 매일 오전과 오후에 모두 1시간 15분 간 방송하였다. 대부분 사회적 상층이었던 한국인 청취자들이 가장 선호하였던 프로그램은 전쟁 상황과 세계 각국의 소식을 전하던 <뉴스>와 중요한 시사와 인물 등을 미국정부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설명하던 <해설>이었다. 다양한 주제와 소재로 만들었던 <특집>, 청취자를 모으기 위한 음악과 드라마 위주의 오락 프로그램이 있었다. 그리고
[학술논문] 북한 선교의 전략적 실천 방안
...10:5-6) 교훈하신 것은 동족 복음화 우선 사상의 선교전략으로 볼 수 있다. 한국 교회가 북한 선교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지금은 북한에 선교할 때가 아니라고 단정한 것과 기독교를 핍박하는 북한정권과 조선그리스도연맹의 소모적 지원을 하는 것이다. 한국 교회는 북한의 지하 교회를 지원하며 김일성, 김정일보다 훨씬 능력 있으신 하나님께서 북한에 있는 당신의 백성을 지키시고 보호하고 있다는 것을 잊으면 안 된다. 북한 선교의 전략적 실천 방안으로는 첫째, 북한 지역에 성경을 보급하는 방안 둘째, 라디오방송 프로그램을 통하여 복음을 전하는 방안 셋째, 재한 탈북 동포와 재중 탈북 동포를 통하여 북한 지하교회를 지원하는 방안 넷째, 북한 선교 목적으로 설립된 기독교 단체를 통하여 선교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학위논문] 북한주민의 종교의식 변화를 위한 선교전략
...on the isolation and social closed structure due to contact with the world. We can see the food problem of North Korea and starvation of the children in the mass media; such as TV, new papers, and Radio. Those food problems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socialism are different than South Korea.
North Korea and South Korea should trust and love each other in order to be unified from the...
[학술논문] 남북 주민의 정서 소통 기제로서 대중가요
...홍보와 학교 현장에서의 음악 교육이었다. 그리고 해금 이후 ①자료 발굴, ②노래의 특성과 음악사적 지위 논증, ③이론 및 자료집 출판 보급이라는 3단계로 적극적인 지원 사업을 벌인다. 계몽기가요와 더불어 남한의 대중가요는 북한 유흥문화의 틈새로 자리하면서 정책의 변화를 끌어냈다. 남한의 대중가요의 비공식적 전파 통로는 ①연변 조선족들에 의한 전파, ②라디오를 통한 전파, ③대북방송을 통한 전파 등이다. 공식적인 통로는 남한 방송사에서 기획한 방북공연을 통한 전파이다. 북한 당국은 주민들 사이에서 남한의 대중가요가 음성적으로 확산되자 해방 전 대중가요는 계몽기가요에 포함하여 민족수난기 민족문화유산으로 적극적으로 권장하는 입장을 취했고, 해방 이후 남한의 대중가요는 방북공연에서 노래를 부른 가수를 초청하여 민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