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용악 산문집『보람찬 청춘』연구
이 논문은 이용악 탄생 100주년을 맞아 다시금 활성화 되고 있는 이용악에 대한 연구와 ‘이용악 전집’ 준비과정에서 발견된 산문집『보람찬 청춘』을 고찰한 것이다.『보람찬 청춘』은 이용악의 유일한 산문집이자 한국전쟁 직후 북에서 처음 발간한 작품집 것이라는 점에서 눈에 띈다. 특히 집필과 발간 시기가 남로당계 숙청과정에서 함께 처벌을 받은 이용악이 활동을 재개한 때이며 북한 사회가 한국전쟁을 마치고 ‘전후복구와 사회주의 기초 건설기’를 맞은 때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는 단순한 복권뿐만 아니라 이용악이 북한에서 지속적으로 활동하고 사후에도 북한문학사에서 높이 평가 받는 대표적인 시인으로 자리매김하는데 중요한 고리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북한에 연착륙한 이용악
[학술논문] 이용악의 「평남관개시초」 연구
...문단의 중심에 확실하게 자리매김하게 한 작품이다. 1955년 복권되어 활동을 재개한 이용악은 이듬해인 1956년 조선작가동맹 시분과 위원 단행본부 부주필을 맡은데 이어『조선문학』 8월호에 「평남관개시초」연작 10편을 발표한다. 그리고 1957년 5월, 「평남관개시초」로 조선인민군 창건 5주년 기념 문학예술상 운문부문 1등상을 수상하게 되며 12월에는『리용악시선집』을 작가동맹출판사에서 출판하며 북한문단에서 위상을 확고히 하게 된다. 이후 꾸준히 작품 활동을 하면서 1968년 9월 공화국창건 20주년 훈장을 수훈하였으며 또 작고한 후인 2003년 9월 조국 통일 위업에 바친 공로를 높이 평가받아 김정일에 의해 조국통일상을 수여하는 등 북을 택한 남로당계 문인들 가운데 드물게 북한 문단 중심에서 꾸준히 활동하였다....
[학술논문] 재일 조선인 북송 사업과 이용악의 시
...이용악의 작품들 중 세 편의 시 「빛나는 한나절」, 「열 살도 채 되기 전에」, 「봄의 속삭임」을 분석하고 작품의 의미를 살핀다. 이 세 편의 작품은 모두 『조선문학』에 수록된 작품들이며, 1960년 1월, 1960년 4월에 3개월의 시차를 두고 발표되었다. 이 작품들은 북한에서 발표된 『리용악 시선집』에 미수록된 작품들이며, 이 작품들에 대한 연구는 아직 본격적으로 진행되지 않았다. 1957년 북한에서 『리용악 시선집』이 발간된 이후 발표된 이 작품들은 1958년부터 진행된 재일 조선인 귀향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용악은 재일 조선인의 귀향을 다룬 다른 시인들과는 다른 행보를 보여준다. 같은 주제를 다룬 작품 3편을 창작하고 2회에 걸쳐 발표하는 등 이전의 작품 발표와는 다른 이례적 행보를 보여준다. 이에...
[학술논문] 한국전쟁기 이용악의 시 「다만 그것을 전하라 - 불가리아의 로시인 지미뜨리·뽈리아노프에게」의 발표 지면 발굴과 그 의미
...발간된 『평화의 초소에서』에, 소명출판의 『이용악 전집』에는 1957년 조선 작가 동맹 출판사에서 발간된 리용악 시선집에 실린 것으로 소개되어 왔다. 논문에서는 이 작품이 1952년 11월 17일 『로동신문』 3면에 실린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그것을 전하라」는 1952년 11월 북한을 방문한 게오르그 카슬라보프를 단장으로 한 불가리아 사절단에게 전하는 작품이다. 시의 부제에서 언급된 지미뜨리·뽈리아노프 역시 불가리아의 시인으로 인민 사절단의 일원이었다. 이용악 시전집에서 소개된 것과 달리 이 작품은 11연 65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당 부분 개작 되어 『평화의 초소에서』와 『리용악 시선집』에 실려 있음을 확인하였다. 작품의 개작은 영탄조의 어조를 삭제하여 리듬을 정련하였고, 감정을 직접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