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아동문학 판타지의 통일담론 연구
본고는 남북한의 대표적인 아동문학작가 강소천과 리원우의 작품에 나타난 문학적 세계관을 통해 남북한 통일담론의 차이를 포착하여 현재 남북한 문화감정구조의 동질성과 이질성에 대한 역사적 유래를 확인함과 동시에 향후 통일 시대 문화적 통합의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했다. 휴전 다음 해인 1954년 남한과 북한에서 출판된 두 작품, 즉 강소천의 <꿈을 찍는 사진관>과 리원우의 <도끼장군>이 현재 남북한의 통일담론의 동질성/이질성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아동문학 판타지 작품으로 판단되어 본고의 분석텍스트로 선택하였다. 휴전 이래 지금까지 60여 년 동안 각 체제의 정치철학적 세계관이 추진해 나간 통일론의 문화인식론적 방향은, 남한이 내부 치유를 통한 민족통일론으로, 북한이 외세 대항을 통한 민족통일론으로...
[학술논문] 백석의 아동 문학론 연구-「쫓기달래」를 중심으로
본고는 재북 시인으로서 백석이 사상 투쟁이라는 당대 북한 문단의 주류에서 이탈하여 전개했던 아동 문학론에 주목하여, 그가 지향했던 ‘시정(詩情)’이 가리키는 지점을 해명하고자 했다. 분단 후 백석이 가장 적극적으로 논의를 개진한 것이 바로 당시 아동문학 분과장이었던 리원우와의 ‘아동문학 논쟁’이었는데, 이때 발표된 평론에서 그는 북한 문학계의 도식주의를 강도 높게 비판하였다. 특히 이 시기 백석이 타협의 여지 없이 저항했던 ‘지배 담론의 획일성’은 분단 이전 그가 꾸준히 탈주하고자 했던 근대적 동일성의 세계를 상기시킨다. 이처럼 백석은 자신의 평론을 통해 언급했던 ‘지속적으로 강요되는 교훈’, ‘주입되는 의식’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