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지역 고인돌유적의 특징과 성격
...개석형고인돌은太子河流域의馬城子文化가 주변지역으로 확산되는 과정 중 요동반도의 고인돌문화와 접촉하여 출현한 것으로이해하였다. 가장빠른연대를보이는것이鳳城東山유적에서확인되며커다란덮개돌밑으로토광형의묘실을두었고, 그내부에서는 마성자문화후기단계의전형적인토기가 출토되었다. 따라서 동산유적의 개석 식(토광형)은기원전 12~11세기전후로 편년할 수있다. 또한동산유적의 개석 식(괴석형)에서는 고식의 미송리형토기 출토되었다. 本溪 大片地유적에서는개석 식과 개석 식(혼축형)에서미송리형토기가출토되었고, 개석 식이 발굴된開源 建材村에서는 후기형식의 미송리형토기가 수습되었다. 북한의 대동강유역에서는 기원전 7세기전후부터 개석 · 식이 축조되기 시작하며, 묘실에서 묵방리형토기가 출토된다. 한편 마성자문화 후기단계인 기원전 12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