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기 최명익 소설의 지속과 전환, 소통과 거리두기- <마천령>을 중심으로
...<마천령>에 초점을 맞추었다. <마천령>은 최명익의 자전적 요소가 반영된 작품이다. 여기에는 ‘인텔리 의식’ 때문에 비평가들에게 맹렬한 비난을 받은 최명익의 내적 고뇌가 담겨 있다. 또한 해방기 북한 정국이 제시한 ‘고상한 리얼리즘’의 수용과도 관련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해방 이전 모더니즘적 경향이 강한 <비오는 길>을 준거의 틀로 삼았다. <마천령>은 <비오는 길>로 대변되는 해방 전 모더니즘 소설의 창작방식과 태도를 계승하고 지속한 성격을 가진다. 아울러 <맥령>으로 대표되는 해방 후 고상한 리얼리즘의 창작방식과 태도를 참작하고 수용한 성격 역시 가지고 있다. 이 두 가지 측면이 <마천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