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67년 노동당 제4기 15차 전원회의 김정일 연설: 김정일 후계체제의 서막
1974년 후계자로 확정된 후 김정일은 주체사상의 체계화와 유일사상체계 확립을 주도했고, 노동당과 군대, 정권기관에 유일지도체계를 수립했다. 김정일은 1세대들의 강력한 지지를 바탕으로 후계자로 등장한 후 2세대들의 뒷받침을 받아 1세대들이 이룩한 성과를 사상·이론적으로 체계화하고, 당·정·군 등의 운영 지침서를 마련함으로써 현재 북한의 당·국가시스템을 완성했다. 따라서 북한 역사에서 김정일과 김정일시대를 객관적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개인 김정일에 초점을 맞추는 시각 외에 북한 ‘2세대'를 대표하는 인물로서 김정일을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하다. 그의 성장과 권력 장악은 ’빨치산 1세대'의 각별한 관심과 ‘혁명2세대'들의
[학위논문] 김정일 시대의 핵심엘리트 연구 : 충원과 인적구성을 중심으로
...있으며, 또한 그 부서의 장이 있다고 해도 고령과 건강상의 이유로 인해 업무 수행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이 자리를 김정일이 직접 여러 명의 제1부부장이나 부부장을 활용하여 운영하고 있다.
다섯째, 만경대혁명학원이나 친인척의 등용이 줄어들었다. 주석단 서열 상위 50위내의 인물 중 친인척은 1994년 20명에서 2005년 6명으로 줄었고, 만경대혁명학원 출신은 1994년 26명에서 2005년 20명으로 줄어들었다. 김정일은 김일성과 달리 친인척과 만경대혁명학원 출신에 대한 인식이 좋지 못하다. 그것은 그의 권력 투쟁과정에서 이들과의 갈등 및 충돌에서 발생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보다는 자신에게 충실한 인물들을 발탁하고 등용하여 활용하고 있다.
...
[학술논문] 역사적 관점에서 살펴 본 북한 『군 엘리트』의 위상 변화 - 당 정치국과 당 중앙위원회를 중심으로 -
...비율을 역사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김일성이 집권했던 시기에 군 엘리트는 빨치산 출신을 기반으로 1961년 제4차 당 대회 이후 당정군 주요직위에서 핵심엘리트로 성장했으나, 1969년 군사모험주의로 숙청 된 이후 입지가 약해졌다. 김정일 시대는 선군정치로 당 기능이 형해화되면서 군 엘리트가 약진했다. 김정은이 집권 한 이후 군부에 대한 강제적인 세대교체를 단행하였으나 군 엘리트가 차지하는 당 중앙위원회와 당 정치국내 비율은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군 엘리트의 위상은 김정은 집권이후에도 지속 유지되고 있다. 군 엘리트는 빨치산이라는 역사적 맥락에서 출발하여 만경대혁명학원 등 교육기관에서 특권층으로 양성되면서 당정군 주요직위에 겸직되어 일정부분의 지분을 차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