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철학의 패러다임 변화와 사상적 특징
...주체사상의 이론적 위상 변화를 가져온 원인은 크게 볼 때, 유일사상체계 확립의 요구, 북한 지도부의 새로운 시대인식, 전후 20여년의 경제성장을 가능하게 만든 북한 특유의 사회주의 건설노선에 대한 자부심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주체사상의 역사적 변화과정에서 드러난 사상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북한 지도부의 강력한 탈식민 열망은 주체사상이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대체하고 인류철학사상의 최고봉이라는 절대적 신념체계로 치닫는 동력이었으며, 주체사상 속에 포함된 유교전통은 정치적 리더십을 확립하고 사회주의 공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활용된 ‘만들어진 전통’이었다. 나아가 주체사상은 역사적 전개과정에서 단순한 통치이데올로기를 넘어 북한주민의 삶 속에 깊이 내면화된 종교적 차원으로 발전하였다.
[학술논문] 『꽃 파는 처녀』의 신파성과 대중성 그리고 상호텍스트성
...작품이다. ‘불후의 고전적 명작’은 북한식 문학예술의 한 범주로 연극과 가사 등 김일성 및 김정일의 창작과 지도로 만들어진 ‘항일무장투쟁기’의 혁명예술들을 가리킨다. 불후의 고전적 명작으로는 『피바다』・『한 자위단원의 운명』・『성황당』・『안중근 이등박문을 쏘다』・『꽃 파는 처녀』 등이 있다. 이들 작품은 대개 연극과 혁명가극(북한식 오페라)은 물론 영화와 소설로 제작되는 등 대부분 장르적 변용과 확장이 이루어졌다. 『꽃 파는 처녀』에 대한 연구는 주로 가극과 영화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1977년 4・15창작단에 의해 장편소설로 만들어진 소설 텍스트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아직까지 시도되지 않았다. 『꽃 파는 처녀』는 연극・가극・장편소설・아동문학・화폐의 도안 등 다양한...
[학술논문] ‘항일혁명문학(예술)’ 담론의 기원과 주체문예의 문화정치
이 글에서는 북한 주체문학의 만들어진 전통인 ‘항일혁명문학(예술)’의 역사적출현 배경과 문학사적 위상을 재조명하였다. 1950~60년대 문예지를 분석하여 항일혁명문학(예술) 담론의 기원을 미시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나아가 그 역사적 전통을 근거로 이후북한 문학예술 장에 펼쳐진 주체문예론의 문화정치적 자장을 고찰하였다. 북한 문예지의빨치산 문학 자료를 통시적으로 살펴보니 처음에는 1930년대 항일 유격대의 전투 중 예술선동이 구전된 민중가요, 정치연설, 촌극으로 기억되는 정도에 불과하였다. 그러다가 1959 년을 기점으로 ‘혁명적 가요, 혁명적 정론, 혁명적 연극’으로 호명되면서 북한 문학예술의기원이자 적통으로 차츰 격상되었다. 이 과정에서 하방 위기에 놓인 문인, 예술가들은...
[학술논문] 분단 70년, 북한 기독교의 이해
지난 70년 동안 북한 기독교는 조선그리스도교련맹, 가정교회, 봉수교회, 지하교회의 형태로 재편과 변형을 거쳐 왔다. 조선그리스도교련맹과 공인교회가 북한정부의 종교이용과 간섭으로 만들어진 재편된 형태의 기독교에 속한다면, 가정교회와 지하교회는 종교탄압 환경에서 생긴 전통적 기독교의 변형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 기독교를 이해하려면 조선그리스도교련맹과 교회들이 어떤 환경과 동기에서 재편되거나 변형되어 왔는가를 찾아볼 필요가 있다. 조선그리스도교련맹과 교회들의 결성과 건립 동기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그것들에 대한 남한교회의 오래된 부정적 인식 때문이다. 남한의 연구자들과 교회 지도자들은 종교기구로서의 조선그리스도교련맹, 봉수교회, 장충성당의 종교적 아이덴티티를 부인하고 그것들을 위장 종교집단, 가짜교회, 대남적화통일을...
[학술논문] 로컬의 유산과 두 ‘국가 풍경’의 창생 ― 1949년의 두 고향, <마음의 고향>과 <내 고향>
1949년 남한과 북한 양쪽에서 ‘고향’에 관한 두 편의 영화가 등장하였다. 남한에서 만들어진 <마음의 고향>과 북한에서 만들어진 <내 고향>. 이 두 편의 영화는 각각의 장소에서 당시까지의 조선영화의 수준을 뛰어넘는 것으로 평가받았다. 이 두 ‘고향’의 이미지는 그것들이 도착한 시간을 고려한다면 더없이 흥미로운 것이다. 1948년 남한과 북한에서는 각각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성립되었다. 이 순간 도착한 <마음의 고향>과 <내 고향>은 모두 고향이라는 심상과 관련된 ‘풍경’에 강하게 긴박되어 있다. 새로이 등장한 두 개의 분단 포스트콜로니얼 신생국가, 이후 오랫동안 한반도에서의 역사적, 정치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