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로동신문』의 "우리말 다듬기 지상토론" 분석: 1966년부터 1973년까지
...조선노동당의 기관지인 『로동신문』에 1966년 7월 9일부터 1973년 10월 28일까지 총 554회에 걸쳐 연재된 "우리말 다듬기 지상토론"의 내용 분석을 통하여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의 북한의 언어정책의 사회 통제적 국면 및 그 중심 사업이었던 '국어순화운동'의 사회 수용적 국면을 표면화시키는 과정을 주안으로 하는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지상토론'의 내용에 대해 최종적으로 다듬어진 말이 아니라 토론의 과정을 제시하는 것으로 북한 사회와 그곳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이 '우리말'이라고 느꼈던 말과 그 말에 대한 감각을 끌어내는 토론 과정에 중점을 두었다. 내용 분석으로는 당시 북한에서 발간된 출판물 논문 등을 참조하였고, 북한의 언어 정책과...
[학술논문] 남북한 가정생활교육 관련용어 비교분석 - 아동・가족분야를 중심으로 -
...내용체계 가운데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발달영역용어가 관계영역용어보다 큰 차이를 보였으며, 발달영역 중에서는 ‘사랑과 결혼’ ‘임신 중 생활과 출산’에서, 관계영역 중에서는 ‘자녀 돌보기’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둘째, 남북한 용어에서 차이를 보이는 주요 내용은 호칭관련, 혼례관련, 임신관련, 출산관련, 자녀돌봄관련 내용이었다. 셋째, 남북한용어 차이의 주요 양상은 상이한 남북한 사회체제로 인한 차이, 말다듬기로 인한 차이, 표기법으로 인한 차이가 주를 이루었다. 본연구는 남북한 아동・가족분야 용어 비교를 통해 통일 이후 가정생활교육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학술논문] 광복 직후 북한의 문자 정책
Korean Character Policy of North Korea has begun from a campaign to abolish illiteracy. Although the laborers and farmers had to gain control of the means of production to realize Socialism such as sharing the means of production, they were not able to get the power due to the illiterate. They had a mission for reducing illiteracy rate for settle down the socialist state which is new government that
[학위논문] 남북한 국어 정책 변천사 연구
...세종계획'이라는 중장기 계획을 발표하여 진행되고 있으며 한국어의 세계화는 우리나라의 국력 신장과 함께 날로 한국어가 세계로 뻗어간다고 하였다.
북한의 국어 정책 변천사를 어문 규정의 변천, 말다듬기 정책의 변천, 문자 정책의 변천, 국어사전 정책의 변천, 국어과 교육의 변천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어문 규정의 변천을 맞춤법 통일안의 준용, 조선어 철자법의 공표, 조선말 규범집의 공표, 문화어 운동의 정착, 조선말 규범집의 수정으로 다시 나누어 살펴보았다. 말다듬기 정책의 변천은 문화어운동과 병행하여 추진된 정책으로 의도적인 정책임을 알 수 있었다. 문자 정책의 변천은 한글 전용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였지만 한문 교육은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고 하였다. 국어사전의 편찬 방법과...
[학술논문] 북한 식생활 영역의 용어 연구를 통한 북한 식생활의 이해
...1학년 기술・가정교과의 식생활영역 단원에서 남한식생활관련 용어를 추출하였다. 분석결과는 1) 분류된 북한의 식생활용어는 식품분야의 용어가 과반 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2) 또한 북한의 식량사정을 엿볼 수 있는 용어가 추출되었으며; 3) 북한의 식생활정책과 관련하여 식량증산을 위한 작물로 옥수수에 관한 용어가 비교적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4) 북한의 말다듬기 사업을 통해 다듬어진 한자어나 외래어가 여러 분류에서 다양하게 추출되었으며; 5) 북한용어 중 일부는 해석이 없이는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들이 있었으며; 6) 농업과 관련된 용어 중 남한에서 사용되지 않는 용어들이 발견 되었으며; 7)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에서는 남한식생활정책용어들과 다수의 외국어가 추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가 식생활영역의 남북언어이질화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