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임화, 레드 매카시즘의 희생양 - 간첩 혐의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
...임화에 제기된 간첩 혐의를 ‘레드 매카시즘(Red McCarthyism)’이라는 개념을 통해 비판적으로 재검토한다. 1953년 8월 초, 임화가 미제국주의 간첩 혐의로 사형된 이래로 이 사건을 설명하는 용어는 ‘정치적 숙청’이었다. 이에 비해서 ‘레드 매카시즘’은 공산주의 국가 내에서 근거가 불분명한 이데올로기적 프레이밍을 통해서 정적을 제거하거나 정치적 이익을 얻으려고 하는 매카시즘적 수단이 사용되었음을 강조한다. 왜냐하면 미국 내 매카시즘이 허위 간첩 혐의와 이념적 낙인을 정치적 탄압 수단으로 활용한 것이라면 레드 매카시즘은 그 이념적 방향이 반공에서 반미로 전도되었을 뿐 구조적으로 매카시즘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논문은...
[학술논문] 탈냉전 이후 한국적 매카시즘의 탄생 ―조문 파동과 주사파 발언을 통해 드러난 매카시즘―
McCarthyism took shape during the post-Cold war period, and McCarthyism in South Korea was formed during the post-democratization era. The collapse of the Cold war system around the world, and democratization in South Korea, made the Korean conservative groups feel threatened, and concerned that they might lose their privileges and advantages. Such worries spreaded through conservative major mass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