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1 연구의 목적 1 2 연구의 의의 4 제2절 연구의 전제와 범위 7 1 연구의 전제 7 2 연구의 범위 9 제2장 북한 특수경제지대법제와 경제개발구법제 11 제1절 특수경제지대의 역사와 규범체계 11 1 특수경제지대정책의 변화 11 (1) 특수경제지대정책의 시작 김일성
1930년대 소련의 생물학계는 당시 서구의 고전 유전학을 관념론적이고 형이상학적 “부르주아 유전학”으로 규정하고 이를 ‘멘델모건주의’로 호명하였다 트로핌 리센코 중심의 소비에트 유전학파는 “반동적” 멘델모건주의에 대응하여 변증법적 유물론에 입각한 ‘미추린주의’를 주조하고 리콜라이 바빌로프 등 고전 유전학자들을 숙청하였다 부르주아 과학과 프롤레타리아 과학의 대립 구도에서 미추린주의는 진정한 사회주의 생물학으로 인정을 받아 유일한 과학적 원리로 채택되었다 이렇게 형성된 ‘과학적 이데올로기’ 미추린주의는 194050년대에 신생 사회주의 국가 북한에 그대로 수입되어 전파되었다 일본유학을 통하여 고전 유전학의 기초를...
[학위논문] 탈북민 목회자의 생애사 분석을 통한 복음 수용성 연구 : Mandelbaum 분석방법론 적용
...하나의 과정이기 때문이다. 연구자들의 관념이나 2차 문헌이나 기존의 변수가 아닌 연구참여자들의 생생한 삶의 이야기 속에서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멘델바움 생애사 연구 방법을 기반으로 루이스 람보의 회심 이론을 접목하여 이론과 방법론의 통합에도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에는 5명의 탈북민 목회자들이 참여했다. 본 연구자는 반구조화 된 개방형 질문과 눈덩이 표집(snowball sampling) 방법으로 연구참여자를 선정했다. 심층 인터뷰는 참여자 1인당 5시간 일대일로 참여자들이 섬기는 교회에서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구성한 생애사 텍스트를 멘델바움이 제시한 분석틀을 바탕으로 삶의 영역 삶의 전환점 삶의 적응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개별생애사를 분석하고 5인의 삶의 영역끼리 모아서...
[학술논문] 러시아 탈북민의 복음수용에 관한 생애사 연구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 탈북민의 복음수용 과정을 멘델바움(Mendelbaum)의 생애사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러시아 탈북민뿐만 아니라 북한이탈주민에게 복음 수용성을 높이는 전략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러시아 탈북민의 복음수용을 생애사적 관점으로 다루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연구참여자 A의 생애사 자료를 멘델바움의 삶의 영역;삶의 전환점;삶의 적응방법 순으로 분석하였고;그 안에서 복음수용 과정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참여자 A의 복음수용은 하나님의 섭리 안에서 진행되었다. 그는 북한에서 살면서 이미 북한 체제의 허상과 부조리를 경험하였다. 그러한 경험이 러시아에서 일하면서 탈북을 실행하는 동인으로 작용하였다. A는 탈북의 과정에서 선교사들의 도움을 받았고;하나님의 인도하심과 보호하심을 실제로...
[학술논문] 탈북민 목회자의 생애사 분석을 통한 복음 수용성 연구 - 멘델바움 생애사와 루이스 람보의 회심이론으로 분석 -
본 연구는 탈북민 목회자 3명의 생애사를 통하여 복음 수용 과정을 분석하였다. 복음수용을 생애사로 연구한 것은 복음수용은 일회적 사건이 아니라 하나의 과정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간디의 생애사를 연구한 멘델바움생애사 분석방법의 삶의 영역;삶의 전환점;삶의 적응으로 개별 생애사를 분석하였고;3인의 개별생애사를 영역끼리 모아서 공통주제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공통주제를 근거로 람보(Rambo)의 7단계 회심이론에 근거하여 복음수용성을 분석하였다. 참여자들의 삶의 영역을 결집하여 나타난 공통주제는 체제모순 속에서 자기 꿈의 유보(맥락);생존만이 유일한 선이 되는 처절한 고통(위기);극한의 땅에 비춰진 복음의 빛에 세례 받음(만남;추구);나를 죽이고 하나님의 형상 드러내기(상호작용;헌신);철로역정의 좁은 길 가기(결과)로...
[학술논문] 기독 탈북청년의 독일정착에 관한 연구: 멘델바움의 생애사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본 논문은 멘델바움의 생애사 분석방법을 통한 장마당 세대인 기독 탈북청년의 독일정착을 분석함으로써 이주 동기와 적응 과정과 신앙여정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기독 탈북청년의 삶의 영역은 어떠한가?” 둘째, “기독 탈북청년의 삶의 전환점은 무엇이며 이를 가능하게 한 개인적·사회적·국가적 조건들은 무엇인가?” 셋째, “기독 탈북청년의 독특한 적응 방법은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참여자 A의 삶의 영역은 「북한에서의 행복한 삶」, 「이방인의 마음을 경험한 한국」, 「유학과정에서 다시 만난 하나님」, 「독일정착을 위한 노력」, 「결혼을 통한 새로운 시작」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