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멘토링 연결망 특성, 멘토링 기능, 그리고 경제적 만족도 간의 관계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연구
...사용하여 “개발지원적 멘토링 연결망(developmental network)" 측면에서 파악하려 하였다. 사회 연결망(social network)의 하위체계인 멘토링 연결망의 특성(감정적 친밀도, 연결망의 수, 연결망의 범위)이 멘토링 기능(경력기능, 심리사회기능, 역할기능)을 매개로 하여 경제적 만족도(수입만족, 직업만족, 경제적 상태 만족)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력을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2곳의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초기정착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121명의 설문지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멘토링 연결망 특성이 멘토링 기능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멘토링 기능이 경제적 만족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으나, 멘토링 연결망 특성은 경제적 만족도에...
[학위논문]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 적응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주민은 의지가 되는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해 사회적 지지를 얻었으므로 소외되어 있는 북한이탈주민과의 의사소통을 위한 인적 네트워크를 마련해야 하는 필요성을 제안하며, 따라서 활동 및 행사 중심의 프로그램 운영이 아닌 남한 사람들과의 멘토링 프로그램 등 구체적 지지망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을 제언한다. 둘째, 대부분의 북한이탈주민은 남한 사회에서 가족을 재형성하고 가족으로부터 긍정적 지지를 받으므로 건강한 가족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단란한 가족구성원들의 역할을 증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운영을 제언한다.
본 연구 결과는 북한이탈주민의 한국 사회적응 경험이 어떠한 것인지 탐색하고 그 경험의 의미를 알아봄으로써 한국사회에서 북한이탈주민들이 이질감을 줄여 자유민주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