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북 방언 친족어 연구 - 초산지역어를 중심으로 -
...‘헝/제’가 사용되어 ‘처+헝/제’로 된다. 다음으로 항렬이 같은 세대일 경우에는 동생의 배우자만이 호칭을 가지고 그 외의 친족원은 ‘이름+아/야’로 호칭을 하다가 결혼하고 자녀가 있으면 모두 ‘X아바지’나 ‘X오마니’로 호칭을 바꾼다. 이 지역의 친족명칭은 모두 고유어 명칭과 한자어 명칭으로 구성되는데 부계 친족원이나 처계 친족원에서는 고유어 명칭이 훨씬 많고 모계 친족원에서는 이와 달리 한자어 명칭이 더 많다. 또한 친족 중에서 가장 소원한 위치에 있는 처계의 친족원에 대해 부계나 모계의 친족원보다 상대적으로 더 격식을 차리고 혼인에 의해 외부에서 들어온 친족에 대해서도 더 격식을 차려 직접 이름을 부르는 경우가 없다. 예를 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