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외동포 현지 교과로서의 ‘조선어’ 교과의 복합적 위상 분석 연구를 위한 시론
이 연구에서는 재외동포 현지 교과인 ‘조선어’ 교과의 복합적 위상을 ‘모국어 교과’, ‘분단 상황에서의 중간자적 언어 교과’, ‘재외동포 현지 교과’ 차원으로 구분하여 그 실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비교·분석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첫째, ‘조선어’ 교과는 ‘모국어 교과’로서의 위상을 지닌다. 중국 내 공용어로서의 ‘중국어’와 모국어인 ‘조선어’의 위상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먼저 공용어인 ‘중국어’와 모국어인 ‘조선어’에 대한 조선족의 인식 실태 조사를 학생,...
[학술논문] 남북한 통합을 위한 국어 교육의 정체성 탐구 - 사고력 신장에 기여하는 도구 교과의 성격을 중심으로 -
‘국어’ 교과는 우리 민족의 ‘모국어 사용’을 교육의 내용으로 직접 다루며, 의무 교육으로써 국민 전체가 배우게 되는 공통 교과이다. 통일을 대비한‘국어’ 교육은 단지 국어 이해와 표현을 위한 기능 교과의 성격을 넘어서 우리 민족의 국어 사용에 작용하는 공통된 사회·윤리·문화적 관점으로써 올바른 언어적 선택 상황에서 작동하는 ‘국어 사고력’을 담당하는 ‘도구 교과’ 가 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국어 교과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남한과 북한의 국어 교육의 목표에 대한 논의를 고찰하고, 전통적으로 강조되어 온 국어교육 의 내용으로써 비판적·창의적 사고력뿐만 아니라 다양성을...
[학술논문] 탈북청소년의 국어학습 관련 연구의 성과와 한계
...선행연구 중 8편의 주요 연구를 선별하여 연구의 대상과 방법, 교육 프로그램과 목표, 측정 도구, 국어학습 상의 특징과 결과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탈북청소년의 국어학습 수준은 과거의 학습경험과 언어문화적 차이로 인해 남한청소년에 비해 낮은 수준이나 모어 화자나 모국어 학습자로서의 기본 역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 작업을 통해 향후 탈북청소년의 국어학습 연구를 위한 세 가지 시사점(탈북청소년을 모어 화자이자 모국어 학습자로서 새롭게 이해할 필요가 있음, 문헌연구가 아니라 탈북청소년의 실제 국어학습 수준과 특성을 진단하는 실증 연구가 시급함, 통일을 대비해 미래 국어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탐색하는 연구와 별개로 현재 국내에 존재하는 탈북청소년을 실제로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