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 이후 고전문학 교육과정 개발 방향
This thesis focused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directions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fter reunification south and north. The first stage of the survey made a comparison between the south and north curriculum and textbook. In North Korea, classical literatures are selected through significance in history of literature and taught to understand, appreciate, and recite. The problem of
[학술논문] 통일한국에 대한 문학교육의 대응
...교육정책을 수용하고자 한다. 현재 국가적 차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다문화 정책 자체가 한계성을 노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또 하나의 방향은 휴머니즘이다. ‘인간다움’의 존중과 ‘참인간다움’ 찾기를 휴머니즘의 본질로 이해한다면, 이는 통일 이후 한반도에서 발생할 복잡 다양한 혼란과 무질서를 수습, 정리할 수 있는 사상적 기반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통일한국 시대의 문학교육의 실천 덕목은 통일문학사 정립, 문학교과서의 제재 선정을 고려할 수 있다. 특히 제재 선정은 고전문학과 세계문학에 대한 수용을 염두에 둘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통일 이후 문학교육의 모형으로 재중조선족 학자들의 학문적 내용을 존중할 필요가 있으며 통합서사의 활용도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학술논문] 기독교대학생의 상호문화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방향 연구
...정부의 다문화 교육 정책이 가지는 수용 부분과한계 부분을 통해, 기독교대학이 모든 대상의 학생에게 일관되고 체계적인교육을 가르쳐 주류사회로 편향된 교육이 일으키는 차별과 갈등을 해결하기위해 상호문화 역량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독교대학의다문화 교육정책 방향으로 상호문화교육에 근거한 다문화 교육과정 개발및 설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상호문화 역량의 의미를 고찰하고, 다문화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기독교대학의 인재상를 반영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실현할 내용을 선정하고, 교육과정과 강의계획서를 개발하고, 적합한 교수학습모형을 위한 교육과정을 설계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국내 상호문화 역량을 포함한 바람직한 기독교대학의 다문화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공하는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학술논문] 북한지역 안정화작전시 갈등해소 방안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현대전에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안정화작전 수행과업 중 연구가 미흡한 갈등해소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마치·사이몬(March & Simon)이 주장한 집단 갈등모형 요인인 공동의사결정의 필요성, 목표의 상이 또는 차별화, 인지의 상이 요인들을 시공간적으로 다양한 안정화작전 사례에 적용하여 집단 갈등모형 요인들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적합성 검증결과로 공동의사결정의 필요성, 목표의 상이 또는 차별화 요인은 적용 가능 및 적합하였지만, 인지의 상이 요인의 경우에는 국가단위에서의 적용이 제한되어 가치관 형성 요인을 추가하였다. 북한지역에서 안정화작전시 갈등해소 방안은 공동의사결정으로 군사통합 시행, 통일한국의 국방정책과 군사전략을 설정, 가치관 형성으로 정체성 확립하는...
[학술논문] 통일 대비 국군장병의 소속 부대에 따른 안보의식의 구인동등성 검증 및 잠재 평균 분석
.... 둘째, 척도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셋째, 소속 부대 즉, 해군과 해병에 따른 안보의식의 요인구조 구인동등성 검증을 위해 형태동일성, 측정동일성, 절편동일성 및 요인분산동일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잠재평균 차이를 다집단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국군장병의 소속 부대에 따른 안보의식 검증결과 구인동등성은 충족되었다. 둘째, 국군장병의 소속 부대에 따른 안보의식의 잠재평균 분석 결과 안보상황에서 해군이 해병대 집단보다 높은 평균 점수와 중간 이하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애국심 에서 해병대 집단이 해군 집단보다 높은 평균 점수와 중간 효과 이상을 갖는 것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안보의식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