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40대 북한이탈주민 대상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북한이탈주민들의 한국 사회적응은 첫째, 사회적 관계 속에서 자신만의 목적의식을 가지고 자신의 정체성에 따른 삶을 살아가는 ‘목표 지향적 적응’과 둘째, 한국 사회에서 자신의 지위와 역할을 인지하고 이를 수용(受容)하면서 살아가는 ‘과정 중심적 적응’으로 구분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북한이탈주민들이 생각하는 ‘적응’은 한국인과 동등한 위치에서 상호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지위의 확립이며, 이 과정에서 자신만의 기준과 정체성을 확립해 가는 과도기적 단계라고 정의 내릴 수 있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북한이탈주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적응 중심의 정부 정책에서 사회 통합 중심의 정부 정책으로 새롭게 전환시킴과 동시에 체계적인 통합 중심의 적응 모델이 개발되기를...
[학위논문] 韓半島 平和體制에 관한 硏究 - 多次元的 接近과 段階別 推進方向을 中心으로 -
...대응방법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냉전기 미북주도의 한반도 군사질서를 탈냉전기 통일지향적인 남북주도의 군사질서로 전환, 탈냉전하 한반도 정세 구도 변화와 남북한 각각의 국내적 상황이 만들어지는 구조적 상황 속에서 남북한과 미국, 중국을 비롯한 관련 주체들의 상호관계를 조명함으로써, 합리적인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21세기 한국은 ‘한반도 평화정착’의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있다. 특히 북한 핵문제가 다시 등장하면서 한반도 문제에서 평화의 정착 문제가 더욱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었고, 이를 위해서는 단기적이고 적응적인 접근보다는 한반도의 안보 위협 요인을 근원적으로 해소함으로써 남북관계를 정상화·안정화하는...
[학위논문] 북한 산림경관 생태적 복원모형 개발
...한다. 경관생태학은 공간위계를 설정하고 황폐지를 분석하여 복원에 필요한 환경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생태복원은 잠재복원대상지의 미래 추구하는 가치를 복원목표로 설정하여 계획을 시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산림경관복원 모형은 다음 세 가지 이유로 목표 지향적 복원을 추구한다. 첫째, 기후변화, 토지이용변화, 자생종의 변화 등 경관의 비가역적 상황으로 자연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복구’에 더 이상 의미가 없다. 둘째, 생태복원은 생태계 기능과 구조안정을 통해 사회·경제적 가치를 추구하는 개념이다. 셋째, 목표를 수반하지 않는 복원은 미래에 성공과 실패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도 없기 때문이다.
북한 산림경관의 생태적 복원모형은 세 가지 모델링...
[학위논문] 탈북민 목회자의 생애사 분석을 통한 복음 수용성 연구 : Mandelbaum 분석방법론 적용
...‘위기’는 카멜레온의 생존방식을 추구했다. 이들은 극한의 고통 속에서 극적으로 회심을 하고 남한에 입국한다. 입국 후 남한의 경제상황에 매료되어 서원기도를 잠시 잊는 퇴행도 있었지만 바로 자신의 소명을 깨닫고 신학을 한다. 자신의 영혼을 건 절대적인 ‘헌신’으로 교회를 개척하고 탈북민들의 믿음과 성경 지향적 통일목회로 ‘헌신’하며 적응하고 있다.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람보의 회심 이론에 근거하여 연구참여자들의 회심과 복음 수용성에 관해 기술했다. 첫째 극도의 기아와 궁핍은 복음수용의 시작이다. 둘째 탈북민들의 복음 수용성에 가장 큰 장애인 동시에 가장 큰 조건이 되는 주체사상이다. 셋째 탈북민들의 복음과의 ‘만남’에 대한 논의이다. 넷째...
[학위논문] 형태발생론의 관점에서 본 북한이탈주민의 학위 취득의 가치와 정착과정
...구조적인 상황이었다. 여기에 한국 사회의 학력주의는 또 다른 구조적 조건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구조적 조건하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각자의 위치에서 주어진 사회구조의 영향력을 수용하거나 저항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북한을 떠나 기존의 사회관계들과 공간적으로 단절되고 새로운 사회구조와 제도, 문화에 적응하면서 새로운 삶의 토대를 형성해야 했다. 이들에게 대학진학을 위한 한국 정부의 제도적 지원은 학위 취득을 통한 지위 지향적 행위양식을 발현시키는 기제로 작동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에게 학위 취득을 통한 학력자본 형성은 새로운 삶을 시작할 수 있는 기반을 의미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이 처한 사회적 맥락과 관심사를 성찰하며 자신의 삶을 지배할 수 있는 적극적 행위자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