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무문토기문화의 설정과 경계
... 청천강유역을 경계로 하여 그 이남과 이북에서 분포의 밀도 차이가 크다. 또 석검·석촉·옥제장신구의 조합을 특징으로 하는 부장습속도 청천강 이남지역에서 확인된다. 결국 청천강유역은 동북아시아의 청동기시대에서 중국 동북지역과 한반도를 구분하는 큰 경계가 되는 곳이므로, 그 이남지역을 ‘무문토기문화’라는 하나의 큰 집합의 고고학문화로 바라볼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이고 보편적 자료인 무문토기를 붙인 무문토기문화는 청천강 이남지역의 청동기시대 전체를 포괄하는 의미의 고고학문화이며, 미사리문화·송국리문화 등은 무문토기문화내의 특정 시기 혹은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설정된 고고학문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