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청소년의 선교적 목회
본 논문은 탈북청소년들이 학교생활에 적응하는 과정의 문제들을 중심으로 교회의 선교적 목회를 위한 케어를 다루고 있다. 국내에 정착한 북한이탈주민은 3만명을 넘어서고 있으며, 탈북청소년도 2017년 3월로 약 3천여명에 이르고 있다. 특히 탈북청소년들은 북한출생 탈북청소년, 무연고 탈북청소년, 제3국에서 출생한 청소년,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출생 자녀들 등 다양한 배경으로 형성되고 있다. 이들의 국내 교육과정에 성공적인 적응은 한국사회의 사회문제의 예방과 미래의 통일사회 대비를 위하여 절실한 실정이다. 이를 위한 정부의 탈북청소년 지원은 웰빙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와 달리 교회는 하나님 나라의 예비된 백성이라는 입장에서 접근하고 케어 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탈북청소년들의 선교적 목회를 위한 케어 방안들을...
[학술논문] 무연고 북한이탈청소년의 부모 상실에 따른 남한사회 적응의 어려움과 극복과정
이 연구의 목적은 무연고 북한이탈청소년이 겪은 부모 분리 및 상실 경험이 남한사회 적응과정과 어떻게 연관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무연고 북한이탈청소년의 재북 및 남한입국 과정에서의 부모 분리 및 상실 경험에 대하여 살펴보고, 남한에서 겪는 어려움과 극복 과정을 살펴보았다. 남한에 거주한지 1년이 넘은 16-21세 무연고 북한이탈청소년 10명과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결과, 무연고 북한이탈청소년이 겪은 아버지 상실은 모두 명확한 상실이었으며, 어머니 상실은 명확한 상실, 모호한 상실, 비 상실로 구분되었다. 이들은 남한에서 기숙사로 한정된 공간, 사회적 관계 형성, 타인에 대한 불신감, 가족 부양 부담감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으며, 어머니 상실 유형에 따라 남한에서 겪는 어려움의 양상이 상이하였다...
[학술논문] 통일 후 사회통합을 위한 중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이중언어사용 활용 방향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자녀 유형의 다양성을 검토하고 그에 따른 현재의 정착지원 정책과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탈북배경청소년들은 대체로 4유형으로 구분되며, 북한출생 탈북청소년, 무연고 탈북청소년, 중국 등 제3국 출생청소년,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출생 자녀이다. 법적 지원은 이들이 어디서 출생했는가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중국 출생 자녀의 특성에서 잠재적 이중언어사용 가능성과 중국, 북한, 남한의 세 가지 정체성을 지닐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이 4가지 유형의 청소년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중국 출생 북한이탈주민자녀의 문제 상황을 살펴보고, 이들에 대한 통일부의 지원정책 및 서비스를 분석하여 향후 통일 후 사회통합을 위한 중국출생 북한이탈주민자녀에 대한 이중언어사용 활용 방향의 효과적...
[학술논문] 탈북청소년의 사회적응과 효과적 지원방안 모색
현재 탈북청소년은 ①북한출생 탈북청소년;②제3국출생 탈북청소년;③남한출생 탈북청소년;④무연고 탈북청소년 등 네 부류로 구분되며 정부 부처에서는 통일부의 남북하나재단(북한이탈주민재단)과 교육부 산하의 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 그리고 여성가족부의 무지개청소년센터가 이들의 교육지원과 정착지원을 맡고 있다. 그 밖에도 여러 민간단체가 탈북청소년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현재까지 전체적이고 종합적인 지원체계가 없고 각 기관과 지원단체 간 역할 분담이나 조정이 미흡하며 이에 따른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다. 전체 탈북민 입국자 중 24세 미만의 탈북청소년은 20% 정도를 차지한다. 한국에 입국하여 정착하고 있는 탈북청소년은 이질적 교육제도;학업 공백의 기간;어려운 가족 환경;정서적・심리적 불안 등으로 한국의 일반학생들과...
[학술논문] 통일 후 사회통합을 위한 중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이중언어사용 활용 방향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자녀 유형의 다양성을 검토하고 그에 따른 현재의 정착지원 정책과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탈북배경청소년들은 대체로 4유형으로 구분되며, 북한출생 탈북청소년, 무연고 탈북청소년, 중국 등 제3국 출생청소년,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출생 자녀이다. 법적 지원은 이들이 어디서 출생했는가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중국 출생 자녀의 특성에서 잠재적 이중언어사용 가능성과 중국, 북한, 남한의 세 가지 정체성을 지닐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이 4가지 유형의 청소년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중국 출생 북한이탈주민자녀의 문제 상황을 살펴보고, 이들에 대한 통일부의 지원정책 및 서비스를 분석하여 향후 통일 후 사회통합을 위한 중국출생 북한이탈주민자녀에 대한 이중언어사용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