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체사상 시기 북한 ‘사회주의건설주제작품’의 역사적 변모양상 -1960~1990년대 북한 서사시를 중심으로-
주체사상 시기에 북한에서는 서정시 못지않게 서사시가 많이 창작되었고, 서사시의 문학사적 위상 또한 높다. 과거의 역사적 순간과 결부된 형식인 서사시 장르가 오늘날 북한사회에서는 왜 부활하고 있는가? 이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서는 북한 서사시 작품과 북한 사회구조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아야 한다. 이에, 필자는 주체사상 시기 북한의 서사시 가운데 ‘사회주의건설주제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 서사시가 북한의 현실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밝혀보았다. 그 결과 주체사상 시기에 창작된 북한의 ‘사회주의건설주제’ 서사시의 특징으로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도출하였다. 첫째, 존재하는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현실’을 반영한다. 현재의 재구성을
[학술논문] 북한 사회주의 복지체제와 기본소득의 제도적친화성에 관한 연구
...light) 유형인 사회주의 복지체제에서 현금 복지제도의 강화는 북한 주민의 생활수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셋째, 기본소득의 가치와 북한 복지체제의 법적 성격을 비교할 때, 기본소득은 북한 사회주의 복지체제에서 적용 가능하다. 먼저 기본소득의 보편성, 개별성, 충분성, 정기성의 특징들은 북한 복지체제의 법적 성격에 일정하게 구현되어 있는 반면, 무조건성의 가치와 현금지급의 원칙은 북한 복지체제의 법적 성격과 부분적으로 부합된다. 다음으로 기본소득의 철학적 근거 중 존엄성, 평등, 자유, 민주주의 및 경제적 근거 중 공유경제와 기본생활 보장이 북한 법령에 명시되어 있다. 북한에 기본소득이 도입된다면, 북한의 심화되는 빈곤과불평등을 감소시키고, 북한 내외로부터의 북한 사회보장 전달체계에 대한 신뢰를 제고하여, 궁극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