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라크 전쟁 중 미군의 군사혁신 -내부적 그리고 외부적 군사혁신 이론의 적실성 검증을 중심으로-
...외부적 군사혁신 이론이 이라크 전쟁 동안 발생한 미군의 군사혁신을 더 잘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가 한국의 군사혁신에 있어 시사하는 바는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본 연구는 한국에서 군사혁신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다양한 분야의 학문적•군사적 지식이 축적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이라크의 사례는 군사혁신이 때로는 적절한 문민통제의 산물임을 시사한다. 문민 지도부는 군이 갖는 자율성의 범위와 개입의 정도를 융통성 있게 조정하여 군이 보다 더 효율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본 연구는 향후 북한 불안정사태가 실제 발생했을 경우 한국군의 효율적 대응을 위해서는 넘어야 할 과제가 많음을 시사한다. 북한 불안정사태 발생시 한국군의 교리와 행동 변화를 가속화 할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