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美국방장관 후보, 北이 핵보유국?...무식 탓일수도"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 후보자가 15일 미 상원 인사청문회에서 북한을 ‘핵 보유국(nuclear power)’라고 지칭한 것은 그가 북핵 관련 전문적인 지식이 없었기 때문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 북한전문 매체 NK뉴스는 이날 벤자민 엥글 단국대 초빙교수의 발언을 이용해 “(미국의 북핵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이 변화한 것을 확인하려면 트럼프 행정부가 이 용어를 반복해서 사용하는 것을 봐야만 할 것”이라며 “(북한이 핵 보유국이라는 표현은) 헤그세스의 경험 부족을 보여주는 것일 수도 있다”고 했다. 엥글 교수는 육군 소령 출신의 헤그세스가 폭스뉴스 진행자를 하다 국방장관에 지명된 점을 언급하며
[뉴스] “조선식 군복 치수 적으세요”… 러, 파병 온 북한군에 한글 설문지
‘모자 크기(둘레), 체복·군복 치수와 구두 문서를 작성해 주세요.’
20일(현지 시간) 우크라이나 문화부 소속 전략소통·정보보안센터(SPRAVDI)가 공개한 설문지는 이런 한국어 안내로 시작한다. 같은 문장이 러시아어로도 병기돼 있다. 미국 CNN에 따르면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를 지원하기 위해 파병된 북한 군인들은 러시아에 도착하자마자 이 설문지를 작성해야 했다.
[뉴스] '막말 대사' 싱하이밍의 교체, 尹 '절친' 정재호 대사의 잔류[문지방]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가 10일 본국으로 돌아갔습니다. 4년 6개월 만의 귀임입니다.
[뉴스] '분단의 산소통' 남북 스포츠 교류, 얼어붙은 한반도를 녹일 수 있을까[문지방]
최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2026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지역 3차 예선(최종예선) 조추첨에서 ‘남북 맞대결’이 무산됐습니다.
[뉴스] 핵무장으로 푸틴-김정은 위협에 결정타를 날릴 수 있을까[문지방]
"6·25입니다. 이제는 우리도 핵무장을 해야 합니다." 이 두 문장에서 시작됐습니다. 최근 정치권을 달구는 자체 핵무장론 얘기입니다.
[학술논문] 북중경협 강화와 한반도의 미래: 북중경협이 북한 개혁·개방과 통일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북한이 다수의 특구설치를 통한 제한적 개방과 새로운 경제관리체계 도입을 통한 초기적 개혁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북중경협의 긍정적, 부정적 영향에 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 북한을 개혁·개방으로 이끄는 측면에서는 남북경협보다 북중경협의 효과가 클 수 있다. 북한이 현재의 경제노선을 지속적으로 추구한다면 북중경협 강화가 북한의 개혁·개방 및 경제성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강해질 것이다. 또, 이러한 변화로 인해 북중경협 확대에도 불구하고 북한경제의 중국의존도가 오히려 낮아질 수도 있다. 개혁·개방 및 경제성장에 따른 긍정적 효과의 증가와 중국의존에 따른 부정적 영향의 감소는 북중경협의 중·장기적 효과에도 변화를 초래하여 남북한 경제통합에 대한 북중경협의 부정적 영향이
[학술논문] 영문판 세계 지역지리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에 대한 기술 변화
본 연구는 한국을 국가 단위로 기술하고 있는 세계 지역지리 교과서를 분석하여, 한국에 대한 기술 특성 및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내용을 정리하면, 첫째, 한국에 대한 기술 비중은 평균 2.8쪽 분량으로 책 전체의 약 0.46%를 차지한다. 그리고 지역 범주화 방법에서는 한국을 일본과 묶어서 분류하는 방법과 중국의 주변국의 하나로 분류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둘째, 내용 영역별 특성에서는, 먼저 지정학적인 측면에서 과거의 사실과 동아시아 범위에서 기술하다가, 한반도 중심으로 기술 내용이 변화하고 있다. 문화역사적 측면에서는 기술내용의 양이 감소하고 있으며, 한국이 민족적, 언어적, 문화적으로 독립적이라는 점과 남북한의 동질성 존재의 인식 측면에서 기술 내용이 일치하고 있다. 자연지리적 측면에서는
[학술논문] 지형면과 수문지질단위 분류를 이용한 북한의 지하수 부존량 추정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preliminary data on preparation for policy decisions regarding the groundwater supply scheme for N. Korea vulnerable to drought. Agricultural activities oriented to upland field due to the mountainous terrain more than 79% as well as the diversity of rainfall distribution over the country make more vulnerable to structural problems in the drought in N. Korea
[학술논문] 북한 나선시 도시개발과 남산 18호동 살림집을 통해 본북・중 합작개발의 특성
This paper seek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int Development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in Rason-si. We looked into the role of the key actors, their motivation, and development processes through investigating a residential building called Namsan 18ho-dong. A case of Namsan 18ho-dong shows how key actors attempted a new joint development model such as financing, site selection, residential
[학술논문] 한국 인문지리학 분야에서 북한 연구의 동향과 과제
본 연구는 한국의 인문지리학에서 북한과 관련된 학술 성과와 내용을 분야별로 분석하여 통일에 대비하기 위한 연구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시기별 연구 동향을 보면 1980년대 이전에는 정치지리분야에서 지정학과 통일국토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1990년대는 북한 지리교과서에 대한 접근이 용이해지면서 지리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논문이 발표되었다. 2000년대 이후에는 정치지리 분야에서는 비판지정학을바탕으로 한 신지정학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고, DMZ와 접경지역에 대한 연구가 발표되었다. 경제지리 분야에서는 북한의 지역개발과 통일 이후의 남·북한 경제 통합을 다룬 논문들이, 사회·문화지리 분야에서는 탈북민, 지명, 금강산 관광을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북한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