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고전문학 인식의 발전적 수용과 과제
This study begins from the view to criticize that so far our realization and attitude about literature in DPRK have been highly influenced by our prejudice due to resistance to the political system of DPRK or appropriateness of unification and we are not free from the external object of restoration of national homogeneity. I would like to look into the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in DPRK as one of
[학술논문] 박홍근의 월남 동기와 월남 직후 동시의 주체 형성
...북한은 이른바 ‘『응향』 사건’(1946. 12.)을 통해서 북한문학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공고히 해 나갔다. 한편 아동문학에서도 ‘아동문화사 사건’(1947) 등을 통해서 사상성을 검증하였다. 이런 와중에 등단을 한 박홍근은 그의 문학관이 이런 일련의 사태를 부정하든 긍정하든 영향 관계에 놓일 수밖에 없었다. 이 글은 여기서 출발하여 박홍근의 월남 계기와 그것이 작품에 끼친 영향 등을 살펴서 그의 문학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실향(탈향)민의 입장에서 고향에 대한 정서가 어떻게 문학적으로 변용, 형상화되었는지를 살펴서 그의 문학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박홍근의 시에는 전쟁 후 이산과 가난으로 인한 아픔이나 이데올로기의 갈등이 없다. 이데올로기를 초월한 그의 시적 사유가...
[학술논문] 북한의 아동문학관과 동화 창작 방법론
연구자는 북한에서 동심과 아동문학을 바라보는 관점과 그에 따라 동화를 창작하는 방법, 어린이를 위한 동화 창작의 길에 대한 모색 등을 주요 연구 내용으로 하였다. 북한에서는 주체적문예이론에 입각하여 아동문학이 시대적 사명과 동심적 특성의 요구에 맞는 문학이 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우리 식의 발전’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강조에 부응하기 위해 아동문학은 혁명적 인재양성을 위해 어린이들을 사상적으로 신념화, 양심화, 도덕화, 생활화시켜야 한다. 아울러 어린이들이 당에 대한 옳은 인식을 가지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북한에서는 동화문학의 창작 수법으로 환상과 과장, 의인화와 상징을 강조한다. 그리고 동화의 구성형식을 위해 반복의 형식, 대비의 구성형식, 현실세계와 환상세계의
[학술논문] 남북한 문학장에서 조명희 문학의 위상
...수 있다. 그의 문학은 남북한이 함께 공유하는 문화유산으로 남북한 문학사 접점으로 존재한다. 그의 국내외를 넘나드는 다양한 문예활동은 한민족 문학사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런데도 분단이라는 이념적 대립 상황과 사회주의 사상을 선택하여 소련에 망명하였다는 선입견으로 인해 그의 문학사적 업적이 온당하게 평가받지 못한 측면이 있다. 또한 그의 방대한 문예와 문학관은 다양한 스펙트럼을 형성하기에 통합문학사적 측면에서 그의 문학사적 위상과 전망을 다루는 일은 쉽지 않다. 하지만 이러한 점은 다가올 통일시대를 대비한 통합 문학사 서술의 방법론을 제시하는 방편이 될 수 있으며 남북한을 넘어 한인 디아스포라 문학의 위상을 점검하는 실증자료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본고는 남북한에서의 조명희 연구사를 살펴보면서 특히 북한 평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