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민족 문학사의 통시적 연구와 기술의 방향성
...작가와 작품을 유기적으로 고찰하는 문학사를 새롭게 기술해 보자는 것이 한민족 문학사의 창의적 의도이며 도전적 의욕이다. 이를테면 북한문학과 재외동포 문학을 포함한 한민족 전체의 문학사를 작성해야 할 시기에 이르렀다는 뜻이다. 이 시도는 남북한 문학사의 성과를 이어 받으면서 지금까지 없던 문학사의 새로운 길을 내는 일이므로, 향후의 후속 연구와 자료 활용에도 초석이 되어야 한다. 크게 구분하여 남북한과 재외 4개 지역 등 모두 6개 지역이 세항을 이룰 한민족 문학사는, 하나의 일관된 문학사로서 통합적 기술의 성격을 가져야 한다. 하지만 각기 세항의 실상에 있어 상이한 대목이 많기 때문에 그러한 상이점들을 어떻게 전체적인 범주 안에 조합할 것인가가 과제가 된다. 한민족 문학사는 궁극적으로 지역별로 독립적 지위와...
[학술논문] 남북한 통일문학사 기술의 과제와 전망
...것이 우선이다. 특히 쟁점들을어떻게 ‘통합할 것인가’ 하는 기술적 방법론에 집중적으로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셋째, 한국내 남북한‘통합문학사’를 둘러싼 진지한 공론의 장이 우리 내부에서 학파를 가리지 않고 먼저열려야 한다. 즉 우리 내부의 통합이 가장 먼저이고 가장 중요하다는 것이다. 넷째, 한국 내의논의들이 어느 정도 합의점에 이르면, 이를 영어로 해외에 알리는 작업을 해야 한다. 해외에서의 관심 증대가 시급하다 하겠다. 다섯째, 우선 이러한 한국통합문학사의 논리(시각)가 만들어진 후 북한과의 내용 조정은 통일 즈음에 진행해도 사실상 그다지 늦지는 않다. 결국, 우리내부에서 문학사 통합의 체계를 세우는 작업을 먼저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한 번더 강조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