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미지에 드러난 북한체제의 정치커뮤니케이션: 1950~60년대 포스터를 중심으로
본 논문은 1950~60년대 북한에서 제작된 포스터(선전화) 200여점을 분석하여 북한인민의 생활미시사를 추적, 분석한다. 북한 현대사를 관통하는 정치적 사건과 경제적 주제들이 포스터에 어떻게 녹아들었으며 이것이 북한주민의 일상사에 주입됐는지를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이다. 그 시기 포스터에 투영된 북한체제의 특징을 시각적으로 포착, 그것이 포스터에 어떻게 표현됐으며 인민들에게 전달됐는지를 사회주의적 사실주의(Socialist realism)의 기준에 대비하여 살핀다. 이는 북한 포스터가 갖고 있는 비주얼상 특징이 북한체제 전반의 과제를 담아냈는지를 인민의 생활 재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1950~60년이라는 격동의 시기에 제작된 북한 포스터가 담고 있는 메시지와 특징이 당시 북한체제가
[학술논문] 북한의 ‘우리 국가제일주의’와 국기(國旗) 콘텐츠를 활용한 문화예술
...동시에 ‘세계적인 수준의 문명’을 누리는 인민들에게 ‘우리 국가가 세계에서 제일 좋은 나라’라는 긍지와 자부심을 강요하는 새로운 이데올로기이다. ‘우리 국가제일주의’의 강화와 함께 주목받는 것은 국가상징이다. 김정일 애국주의를 앞세우면서, 국가상징 교양 사업을 대대적으로 본격적으로 전개하였다. 문화 예술을 통한 문화교양 사업의 핵심 콘텐츠는 국기(國旗)이다. 제7차 당대회를 앞두고 나온 영화 <우리 집 이야기>를 시작으로 2019년 ‘우리 국가제일주의’ 선언과 함께 로동신문에 소개된 가요 <우리의 국기> 는 ‘우리 국가제일주의’의 방향과 의미를 대중적으로 확산하는 본보기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