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판소리의 연변 이식과 전승과정 연구
판소리는 소중한 우리의 문화유산이자 문화콘텐츠의 핵심 창작소재이다. 판소리는 조선시대 중기 이후 전라도 지방을 중심으로 구비전승 되다가 점차 전국적으로 확대되었고, 근대에 이르러 중국 동북3성에까지 진출하게 된다. 판소리의 중국 진출과 이식 경로는 봉건적 사회구조의 폭정을 피하거나 일제의 통치에 저항하면서 이주한 조선인들의 중국 이주 경로와 맥을 같이한다. 판소리의 중국 이식과 전승은 세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단계는 판소리 향유와 이식의 배경이 되는 단계로서, 19세기 중엽부터 시작된 조선인 이주부터 1949년 중국 건국 이전까지이다. 이 시기의 특징은 조선인 초기 이주자와 동일시되는 향유자와, 이들에 의해 중국에 초청된 조선 명창 연행자가 서로 영향을 주는 과정을 거치면서 판소리가 중국 현지에...
[학술논문] 중국의 근대 문화유산인 홍색성이 중국관광객의 북한관광 의사결정과정에 미치는 영향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
본 연구에서는 세계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는 중국관광객의 관광행동을 살펴보고자 중국내에서 크게 성장하고 있는 근대유산관광인 홍색관광을 초점으로 살펴보았다. 홍색관광은 중국정부의 장려정책과 국민들의 노스탤지어로 인하여 중국의 국내관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러한 홍색관광의 특성인 홍색성이 해외여행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과 북한의 육상통로인 단동에서 북한관광을 다녀온 중국관광객을 대상으로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2013년 10월 15일부터 11월 15일까지 계통추출법으로 이루어졌다. 총 321부가 수거되었으며,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13부를 제외하고 308부가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홍색관광이 중국관광객의 북한여행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인간의...
[학술논문] 아리랑, 김치 그리고 국가주의
...권고해 온 유네스코 협약의 입장으로 보아도 이율배반적이다. 이 사건을 중심으로 남북한의 국내 보호정책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유네스코의 대표목록 중복등재 허용과 다국가등재 정책과는 어떻게 충돌하는 것인지 등의 질문을 던져본다. 그리고 나서 두 가지 방향에서 답을 구하고자 한다. 첫째로는, 남북한 각각 국내 보호정책의 변화 양상을 살펴본다. 둘째로는, 국가중심주의가 최근 유네스코가 지향하고 있는 다국가등재 정책과 모순된다는 점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이같이 비판적인 성찰을 하는 이유는 남북한이 앞으로 공동의 목록 발굴 및 보전 방안 마련을 위한 공조체제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함이다. 궁극적으로는 남북한이 공유하는 무형문화유산의 보호와 전승을 위한 자발적인 논의와 목록화 실천이 시급하다는 점을 일깨우고자 한다.
[학술논문] 통일시대 남북한 문화유산 교류와 협력
...유산의 교류와 협력 사업은 통일의 그날을 위한 디딤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문화유산의 교류와 협력이 정치군사관계에 상관없이 진전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남북관계에서 문화유산 교류가 스스로의 공간을 확보하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남북문화유산협력위원회’를 구성하여 정기적으로 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을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류와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 민관 협동기구인 ‘남북문화유산교류재단’을 신설하여 교류와 협력의 전 과정을 지원하는 전담기구를 설치할 것을 제안한다. 한편 이미 통일을 이룩한 독일의 경우에 서독과 동독이 문화유산의 교류와 협력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였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 통일 이후 문화유산의 보존과...
[학술논문] 남북 주민의 정서 소통 기제로서 대중가요
... 등이다. 공식적인 통로는 남한 방송사에서 기획한 방북공연을 통한 전파이다. 북한 당국은 주민들 사이에서 남한의 대중가요가 음성적으로 확산되자 해방 전 대중가요는 계몽기가요에 포함하여 민족수난기 민족문화유산으로 적극적으로 권장하는 입장을 취했고, 해방 이후 남한의 대중가요는 방북공연에서 노래를 부른 가수를 초청하여 민간의 향유를 암묵적으로 인정하게 된다. 북한 주민들 사이에서 인기를 끄는 남한의 대중가요는 가사의 곡진함·삶의 애환·애틋한 연애 감정에 감응을 일으키는 노래들이다. 음악적인 특성은 대체로 4/4박자의 전통 트롯 풍의 노래와 발라드 풍의 노래들이다. 계몽기가요는 트롯 장르에 해당하고, 1980년대 인기를 끈 남한의 발라드가 그들의 취향에 부합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남북 주민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