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韓日 “최적의 협력 파트너” 17년만에 공동합의문 발표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23일 한일정상회담을 마치고 “양국은 사회, 문화,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서로 유익하고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협력할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라고 했다. 양국은 수소·인공지능(AI) 등 미래 산업을 비롯한 경제, 안보, 문화 협력을 비롯해 워킹 홀리데이 등 인적 교류를 확대키로 했다. 특히 저출산·고령화, 수도권 집중, 농업 및 재난 안전 등 양국이 직면한 공통과제를 함께 대응하기 위해 당국 간 ‘협의체’를 만드는 데에도 합의했다.
[뉴스] 러시아 문화부 장관 방북…북러 문화협력 확대
(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 = 북한과 러시아가 외교, 군사뿐 아니라 문화분야에서도 교류를 확대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은 올가 류비모바 러시아 문화장관을 단장으로 하는 러시아 문화성 대표단이 전날 평양에 도착했다고 29일 보도했다.
[학술논문] 한독관계사, 회고와 성찰
In this article, the Korea-Germany relationship history (1884 to present) was reflected and the future prospect was suggested to celebrate the 130 anniversary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two nations. So far, th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Germany have not been studied very well. Thus, the necessity on the further study and the collection of necessary materials were suggested as the most urgent
[학술논문] 남북 간의 저작권 교류・협력을 위한 법적 연구
...교류 및 협력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통일을 대비한 법적·제도적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북한 저작권법은 베른협약 가입에도 불구하고 상호주의 원칙과 국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제한적이고 국가주의적인 성격을 지니며, 남한 저작물을 이용하면서도 정당한 보상 없이 권리만 주장하는 구조적 불균형이 존재한다. 반면, 우리나라는 남북경제문화협력재단을 통해 북한 저작물에 대해 저작권료를 지급하고 있으나, 북한은 남한 저작물에 대해 보호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형평성 문제가 심각하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은 세 가지 전략을 제안한다. 첫째, 북한을 외국으로 간주하고 상호주의에 따라 저작권 보호 및 사용료 지급 여부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북한의 WTO 가입을 유도하여 국제지재권...
[학위논문] 남북한 통일 과정에서 필요한 디자인정책 연구
...
여섯째, 본 연구의 최종 결과로 남북한 현황과 해외 비교사례 조사를 통해 향후 통일 과정별로 필요한 디자인정책 방향을 제안하였다. 통일 1단계인 화해협력 단계는 남북의 디자인 교류를 간접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한반도 주변 제3국 혹은 북한 특수경제지역을 통한 협력구도를 제안하였다. 디자인정책방향은 남북한 인력정보기술 교류를 시작으로 경제사회문화 협력으로 확대하는 방향을 제안하였다. 또한 중국홍콩과 대만의 사례에서 보듯이 남북한의 물적 교류 이전 디자인 보호제도를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육측면에서는 민간 디자인단체들과 교육기관들의 상호방문, 공동학술연구, 교육지원, 기술정보 지원이 통일정책으로 뒷받침 돼야할 것으로 결론 내려졌다.
2단계 남북연합 과정에서는 연합정부 구성에서...
[학술논문] 북한에 거주하는 북한주민은 남한 법원에서 저작권 침해를 실질적으로 주장할 수 있는가
북한 저작물에 대해 북한에 거주하는 저작권자가 남한의 법원에 소송을 제기한 경우로, 2005년에서 2008년 사이에 남한의 남북경제문화협력재단과 북한의 저작권사무국을 통해 위임이 이루어져서 제기된 몇 건이 있었다. 이들 소송 진행 과정에서 북한 저작물에 관해 남한에 거주하는 권리자가 소송을 제기한 경우와는 다른 문제가 드러났고,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들 및 그 외에 북한에 거주하는 권리자가 제기한 소송에서 발생 가능한 쟁점들을 검토하였다. 우선 북한의 지위가 반국가단체에 불과하다고 보기보다는 북한과 남한의 관계가 특수관계임을 전제로 검토하였다. 이에 따라, 재판관할권도 남한 법원에 당연히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국제사법 규정을 유추적용하여 정할 수 있을 것인데, 남한 법원에 소를 제기한 경우라면 남한 법원이...
[학술논문] 분쟁지역 환경협력의 유형과 안정적인 남북한 접경지대 환경협력을 위한 촉진요소 연구
2018년 평양공동선언은 한반도 긴장을 개선하고, 비무장지대(DMZ)를 중심으로 접경지대 환경협력의 중요성을 확인했다. 그러나 접경지대 환경협력은 공동으로 직면한 환경문제를 해결하면서 신뢰를 구축하는 평화와 환경의 교차점이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경제협력이나 문화협력 등 다른 협력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술적인 관심을 끌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분쟁지역 접경지대에서 어떠한 조건에 따라 환경협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쟁지역 접경지대 환경협력은 갈등 수준과 환경협력의 적극성 여부에 따라 전환형, 완충형, 안정형으로 구분했고, 한반도는 낮은 갈등 수준에서 수동적인 환경협력이 진행 중인 완충형으로 파악했다. 본 연구는 적극적인 환경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전 세계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