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기업가정신이 비영리조직의 조직문화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평화와 통일을 기반으로 한 비영리조직을 중심으로
...비영리조직의 조직문화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정신과 조직성과에 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효율적인 비영리조직의 운영을 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각 변인들에 최고관리자의 연령 및 조직연륜과 조직규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보았다. 그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은 비영리 조직문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기업가정신은 비영리조직문화의 합의문화, 개발문화는 모두 정(+)의 관계가 있으나 위계문화의 경우 혁신성과 진취성이 유의한 정(+)으로 나타났다. 다만 위험감수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합리문화의 경우는 혁신성과 진취성이 유의하지 않고 위험감수성이 정(+)의 관계가...
[학위논문] 평화학 기반의 통일교육 실천을 위한 비판적 실행연구
...속에서, 통일 이후 한반도 현실 속에서 함께 살아가는 구성원으로서의 ‘자기 인식’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실행한 평화학 기반 통일교육은 학습자들에게 평화감수성의 발견, 통일 과정의 주체성 확립, 협력적 파트너로 전환된 북한, 통일 미래에 대한 즐거운 상상 등의 의미를 부여했다. 향후 남북 교류의 확대, 평화 협정 체제 구축, 양적인 군비 경쟁 종결 등의 사회문화적 저변이 확대된다면 통일 이후 국가구성원으로서의 내면적 성장 가능성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평화학 기반의 통일교육은 한반도의 미래를 보다 긍정적으로 전망하며, 평화적 공존을 지향하는 ‘통일 문화 조성’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큰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학술논문] 한국 사회에서 북한이탈주민의 의사소통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간문화 감수성 측면에서
This study embraces the viewpoint that intercultural sensitivity can be efficiently increased by accepting the communication behaviors(CB) of different group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components of world view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B of North Korean refugees with South Korean people in terms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It surveyed six North Korean refugees who could share their broad
[학술논문] 북한이탈청소년 및 제3국 출생 청소년의 문화 간 감수성에 관련 연구: B학교 재학생을 중심으로
...제3국 출생 청소년의 문화 간 감수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문화 간 감수성 관련 교육에 참고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B학교에 재학 중인 북한이탈청소년 및 제3국 출생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그들의 문화 간 감수성을 탐구하였고 연구결과는 첫째, 북한이탈청소년 및 제3국 출생 청소년은 문화 간 감수성의 다섯 가지 요인 중 네 가지(상호작용 참여와 문화차이의 존중, 상호작용의 향유와 상호작용 주의)에 있어서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고 둘째, 북한이탈청소년 및 제3국 출생 청소년의 문화 간 감수성, 특히 상호작용의 자신감을 높이기 위해 다른 문화권과 의사소통하는 기술을 신장시킬 필요가 있다. 추후 더 큰 규모의 대상에 대한 연구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의 문화 간 감수성에 대해 보다 더욱 구체적이고...
[학술논문] 북한이탈청소년 및 제3국 출생 청소년의 문화 간 감수성에 관련 연구: B학교 재학생을 중심으로
...제3국 출생 청소년의 문화 간 감수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문화 간 감수성 관련 교육에 참고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B학교에 재학 중인 북한이탈청소년 및 제3국 출생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그들의 문화 간 감수성을 탐구하였고 연구결과는 첫째, 북한이탈청소년 및 제3국 출생 청소년은 문화 간 감수성의 다섯 가지 요인 중 네 가지(상호작용 참여와 문화차이의 존중, 상호작용의 향유와 상호작용 주의)에 있어서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고 둘째, 북한이탈청소년 및 제3국 출생 청소년의 문화 간 감수성, 특히 상호작용의 자신감을 높이기 위해 다른 문화권과 의사소통하는 기술을 신장시킬 필요가 있다. 추후 더 큰 규모의 대상에 대한 연구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의 문화 간 감수성에 대해 보다 더욱 구체적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