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정은 정권의 내구성 연구
김정은 정권의 조기붕괴론이 다시 일고 있다. 분단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김정은 정권의 안정적 유지 여부는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이 글은 김정은 정권의 내구성을 물리적 강제력, 공유된 믿음, 체제의 효율성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분석한다. 김정은 정권은 물리적 강제력을 통해 사회를 통제하고 있으며 주체사상이라는 공유된 믿음을 지속시키기 위해 나름대로 애쓰고 있다. 체제의 효율성에 의한 물질적 보상을 위해 김정은은 새로운 경제 관리 방법을 시행하고 과거에 생각할 수 없었던 소규모 시장을 묵인하는 등 자생적 경제 활동에 대한 통제도 느슨하게 하고 있다. 심지어 부를 축적한 돈주의 역할을 인정해 상거래나 유통에 진출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고 있다. 북한 당국의 사회 통제는 과거 김일성이나 김정일 시대에 비해 느슨해졌지만...
[학위논문] 김일성과 김정일의 우상화 정책 비교 연구
...전환하였다.
이러한 북한의 우상화 정책은 체제 및 정치권력 유지에 있어 충성심을 고양시킴으로써 권력유지에 크게 기여하고, 내부위협을 제거함으로써 외부위협에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하며, 권력 승계와 정치지도자 보호에 기여하였다는 순기능적 측면이 있다. 김일성과 김정일에 이어 현재 김정은까지 세습정권이 장기간 존속될 수 있었던 요인은 단순히 물리적 강제력이나 통제력뿐만 아니라 능동적이든 수동적이든 간에 우상화의 효과가 인민의 동의 속에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method with which North Korea proceeded the idolization policy of Kim Il Sung...
[학술논문] 김일성과 김정일의 우상화 정책 비교 연구
...정책을 같이 사용하여 시너지 효과를 달성하였다. 그러나 김일성의 경우, 집권초기에는 미란다 위주 우상화 정책에 무게를 두었으며, 집권중반 이후에는 크레덴다 위주로 전환한 반면에 김정일은 집권초기부터 크레덴다에 무게를 두었다가 집권 중기 이후 미란다 위주로 정책을 전환하였다. 이러한 북한의 우상화 정책은 체제 및 정치권력 유지에 있어 충성심을 고양시킴으로써 권력유지에 크게 기여하고, 내부위협을 제거함으로써 외부위협에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하며, 권력 승계와 정치지도자 보호에 기여하였다. 김일성과 김정일에 이어 현재 김정은까지 세습정권이 장기간 존속될 수 있었던 요인은 단순히 물리적 강제력이나 통제력뿐만 아니라 능동적이든 수동적이든 간에 우상화의 효과가 인민의 동의 속에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학술논문] 국가의 개념과 내용
...스스로 존립의 안정을 확보한다. 국가는 ‘물리적 강제력’에 기초하고; 물리적 강제력을 근거로 해서만 정의될 수 있다. 국가에 대한 인식은 그 구성원 또는 다른 정치적 공동체에 대하여 자신의 의사를 관철시키는 힘을 가지면서 시작되었다. 근대국가의 형성은 권력의 제도화로서 징표되고; 국가권력의 정당성에 관한 문제 즉 국가가 무엇 때문에 존재하고 무엇을 위하여 활동하는지; 왜 국민이 국가권력에 복종해야 하는지에 관하여 답하는 것이 국가론의 본질이고 헌법의 과제이다. 헌법은 국가행위의 내용이 국민에 의하여 민주적으로 결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국가와 국가행위에 정당성을 부여한다. 이로써 국가가 스스로의 목적달성을 위하여 물리적 강제력의 사용이 1차적으로 정당화된다. 국가의 정당성은 민주주의...
[학위논문] 국제사회의 북한 및 이란 경제제재 실효성 비교 연구 : 핵무장 저지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핵무기 개발을 물리적으로 방해하기 위한 사이버 공격이나 불량부품 투입 등 사보타주 활동도 거의 찾아보기 어려웠다. 김정은을 목표로 한 참수작전 추진이나 선제타격 혹은 예방공격설 유포 등 심리적 압박도 2015년까지는 거의 없어 북한이 체제붕괴의 공포감에서 전략적 셈법을 바꾸도록 유도하지도 못했다. 오히려 재래식 전력과 전쟁 수행을 위한 경제력이 현저하게 열세인 북한이 계기시 마다 ‘서울 불바다’ 혹은 ‘백악관 핵미사일 공격’ 등으로 한국과 미국을 위협하며 긴장을 고조시키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이 반복되었다.
국제사회의 북한 경제제재 실효성이 이란에 비해 낮아 핵무장 고도화를 막는데 실패한 주요 원인으로는 △UN의 고강도 제재 미실시와 이행강제력 부족 △미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