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핵문제 전개과정과 해결방안
...장기간에 걸친 북한 정권의 강력한 의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대테러전으로 인해 북핵문제 해결에 대해 적극적 관심을 집중시킬 수 없었고, 남북관계 개선을 추구했던 김대중-노무현 정부는 북한의 핵개발을 협상용 이라고 믿었고, 이명박-박근혜 정부는 금강산, 천안 함, 연평도 등 끊임없는 북한의 도발로 인해 협상의 분위기를 만들 수 없었다. 미중 전략적 관계에서 북핵문제를 접근했던 중국은 북한이 국제적 제재를 회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이란 핵협상이 타결된 상황에서 국제사회는 북한 핵문제 해결에 관심을 집중해야 한다. 오바마 대통령의 전략적 인내는 북핵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북한의 핵보유는 동아시아 국제질 서에 불안정성을 높이게 될 것이며 핵도미노 현상을 야기할 수도 있다...
[학술논문] 전망이론 측면에서 본 푸에블로호사건과 북한의 정책선택
...처한 김일성은 푸에블로호의 대(對)북한 첩보수집활동을 북한주권 침범행위이자 자신의 권위에 대한 도전으로 보았다. 따라서 김일성은 위의 4가지 준거점에 비추어 손실영역에 처한 것으로 인식하고 푸에블로호를 납치했고, 이후에도 미국과 협상을 거부하며 버티는 충돌정책을 선택했다. 제2단계는 미·북 협상단계(2. 2∼12. 23)이다. 미국은 무력시위와 외교적 노력이 모두 실패하자 마침내 미·북 협상에 임했다. 협상이 진행되면서 미국은 북한이 요구해온 ‘3A’(인정·사과·보장)에 대해 조금씩 양보했고, 결국 북한은 미국으로부터 주권을 인정받는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소련과의 동맹강화 및 추가원조 획득, 중국과의 관계계선 계기 마련, 김일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