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초기 문학예술의 미디어 전장: 『문화전선』에서 『조선문학』으로
이 논문은 해방 직후부터 6․25전쟁 직후에 이르는 북한문학 초창기(1945∼53)의 실상을 새롭게 파악하기 위하여 문예지의 미디어(매체)적 존재상황을 공시적, 통시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북한의 대표 문예지 『조선문학』(1953∼2015)의 전신인 계간 『문화전선』(1946),계간 『조선문학』(1947), 월간 『문학예술』(1948∼53)을 미디어 독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8․15해방 후 북한 사회주의체제 건설과정의 진통이 문예지에 실린 기사뿐만 아니라 미디어 자체의 편집양식 변화에도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당과 문예조직의 미디어 장악 의도가 강하게 작동한 이면에는 수많은 시행착오가 있었다. 문학예술이 ‘당 정책의 전달자’ 노릇을 해야 하는...
[학술논문] 매체사로 다시 보는 북한문학:『조선문학』 연구 서설
이 논문에서는 북한문학의 대표 미디어 『조선문학』의 역사(1953.10 ~2015.7)를 서지 작업부터 편집 주체의 변모, 목차와 본문 배열 등 편집 양식의 특징과 그 역사적 변모를 개괄적으로 정리하였다. 1953년 10월 창간된 조선작가동맹 기관지를 전수 조사하여, 제호, 판형, 표지, 조판과 표기방식, 간행횟수, 호별 간행일자, 호별 페이지수, 발행기관과 발행처, 편집진, 정가 등의 시기별 변모를 확인하였다. 가령, 2015년 7월 현재 813호인 누계는 1956년 1월호를 101호로 재규정한 데서 산정된 것이며, 창간 당시 세로쓰기 조판에 한글 전용(숫자만 한자) 표기였던 것이 1957년 2월호부터 가로쓰기 조판에 숫자도 한글 전용으로 정착되었고, 100~300쪽이었던 분량도 1975년 2월호부터 현재의...
[학술논문] 미디어와 북한문학 - 『조선문학』·『문학신문』 연구 시론
... 관리 문예정책 및 문학제도와 어떤 상관관계를 맺는지 역사적 변모를 추적하였다. 북한체제 70년동안 역동적으로 펼쳐진 문예 미디어의 특징을 공시적, 통시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국가관리시스템에 적응해온 북한 특유의 ‘미디어-문학장’을 재조명하면 북한문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이 열릴 것으로 기대한다.
[학술논문] 8.15해방기 북한 문예운동사 연구-북조선예술총련맹 결성(1946.3)에서 6.25전쟁 전(1950.6)까지-
...재구성한다. 연구방법은 『정로』 『로동신문』 『민주조선』 등의 문예기사와 『문화전선』 등의 문헌 고찰과 미디어 독법이다. 제1차 북조선예술가대회(1946.3)를 통한 북조선예술총련맹 결성과 조직 개편, 제2차 북조선문학예술인대회(1946.10)를 통한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으로의 확대 개편 및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 제3차 대회(1949.2), 6.25전쟁 직전 남조선 문학예술인과의 연대 제안(1950.6)까지 정리한다. 이 시기 문예조직과 창작성과를 신문 잡지의 미디어콘텐츠 중심으로 정리하되, 문예운동사를 통시적으로 정리하고 주요 쟁점을 추출하여 공시적 분석을 기한다. 해방기 ‘미디어-문학장(media-literature field)’을 통한 논의 성과로써 6.25전쟁과 전후복구시기(1950-56)...
[학술논문] 1950~60년대 북한 문예미디어 지형과 사회주의 문화정치
..., 『조선음악』, 『조선예술』, 『조선영화』 등이 창간되어 미디어가 획기적으로 늘어났다. 1950, 1960년대에 족출한 북한 문예지를 통해 지면이 확대되고 신인의 활동무대가 넓어졌으며 이론과 실제 비평 등 찬반토론이 활기를 띠는 등 리얼리즘 담론의 백가쟁명 양상을 보였다. 문예 미디어 지형을 조망한 결과 이들 미디어가 전후 복구 건설과 천리마운동을 통한 사회주의 기초 건설기의 문화를 다채롭게 반영하고 있음을 알았다. 미디어가 사회주의체제 건설과 그를 미학적으로 뒷받침한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예’의 물적 토대로 기능했던 것이다. 아쉽게도 이러한 활기는 주체사상이 유일체계화된 1967년을 고비로 급격히 쇠퇴하여 1968년 대부분의 문예지가 폐간, 통합, 축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