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디어 이용자의 대북 인식과 관심
다양한 미디어 채널을 통해 북한 관련 정보가 범람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북한 관련 정보를 독점적으로 생산하고 있지만, 그것을 수용하는 미디어이용자의 인식을 파악하여 대북 정책 발전을 위해반영하는 노력은 전무한 상태이다. 즉, 현재 대북정보는 공급자만 있을 뿐 후속 연구에 대한 관심은 적어 새로운 정책 제안 활성화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북한 정보 습득 경로와 대북관심 내용을 파악하여 대북 정보를 생산 혹은 전달하는 미디어의 특징과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에 북한 정보에 대한 미디어 습득 경로, 신뢰도,북한에 대한 관심과 태도, 관심 이슈 등을 질문하고,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소셜 미디어 이용자를 포함한소셜 미디어 이용자와 비이용자의 의식을 파악했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학위논문] 탈북청소년의 시민성(市民性) 연구
...활동과 현재 청소년으로서 정치사회적 활동에 대한 참여의지가 낮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거주기간은 대체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한국거주기간이 길면 국가정체성과 공공기관에 대한 신뢰도, 정치적 효능감과 미래 정치활동 참여의지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서의 정치사회화 경험은 민주적 가치와 권리 인식과 바람직한 시민성의 자질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사회적 평등 의식 전체와, 타민족(인종)평등 의식, 이민자 평등 의식, 국가정체성, 국가에 대한 애착과 인식, 공공기관에 대한 신뢰도, 정치 효능감, 정치적 항의활동 참여의지, 합법적 항의활동, 비합법적 항의 활동에의 참여의지, 현재 정치활동 참여의지, 미래 정치활동 참여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고 모든 독립변인 중 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