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디어 이용자의 대북 인식과 관심
다양한 미디어 채널을 통해 북한 관련 정보가 범람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북한 관련 정보를 독점적으로 생산하고 있지만, 그것을 수용하는 미디어이용자의 인식을 파악하여 대북 정책 발전을 위해반영하는 노력은 전무한 상태이다. 즉, 현재 대북정보는 공급자만 있을 뿐 후속 연구에 대한 관심은 적어 새로운 정책 제안 활성화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북한 정보 습득 경로와 대북관심 내용을 파악하여 대북 정보를 생산 혹은 전달하는 미디어의 특징과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에 북한 정보에 대한 미디어 습득 경로, 신뢰도,북한에 대한 관심과 태도, 관심 이슈 등을 질문하고,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소셜 미디어 이용자를 포함한소셜 미디어 이용자와 비이용자의 의식을 파악했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학술논문] 언론 보도의 ‘북한이탈주민’ 지칭어가 수용자의 언어에 미치는 영향
...이를 위해 190년부터 2018년까지 29년동안 KBS 뉴스와 Daum 뉴스에서 사용된 ‘탈북자’;‘새터민’;‘귀순자’;‘북한이탈주민’;‘탈북민’ 용어의 사용 기간 및 빈도 추이에 대한 분석과 함께 이들 용어가 Daum 블로그와 Daum 카페에서 이용자들이 게시글과 댓글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수용자의 언어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 결과;KBS 뉴스의 ‘탈북자’ 용어 사용이 Daum 블로그의 ‘탈북자’ 용어 사용과 Daum 카페의 ‘탈북자’ 용어사용을 선도하는 그랜저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학술논문] 북한 소재 영화 콘텐츠는 사회적 거리감을 완화하는가 정치성향의 조절효과
...‘사실성’은 지속이용의도에 정적 영향을, ‘정보성’은 영향을 주지 못한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속이용의도는 북한 및 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지속이용의도와 사회적 거리감 완화 관계에서 정치성향은 조절효과를 주지 못했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사회적 거리감을 완화하기 위해 북한 소재 영화 콘텐츠는 특정 정파를 강조하거나, 국가주의적 담론을 지양할 필요가 있다. 또, 전쟁과 간첩, 갈등적 소재에 대해 이용자들은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고 있었다. 이는 북한 소재 영화 콘텐츠의 상업적 활용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볼수 있다. 끝으로, 통일 관여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지각된 특성이 모두 높게 나타난 만큼, 향후 통일교육 과정에서 미디어(영화)의 활용은 더욱 중요해졌다.
[학술논문] 디지털 미디어 이용자들의 대북한 인식 분석을 통한 평화리터러시 구축 방안 모색
...것이다. 통일교육은 교육대상자와 시대에 따라 적절하게 변해야 한다.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자라난 MZ세대들은 북한을 민족으로 보기보다 다른 국가로 인식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으며 영상 게시물과 댓글의 내용 또한 북한을 제대로 바라보고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영상 게시물의 경우 북한의 일상생활을 소개하는 것이 많은 반면;댓글은 전쟁에 대한 막연한 공포와 두려움을 표현하고 있다. MZ세대는 디지털 미디어를 사용하여 세상을 바라보며 사회 문제들을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에 익숙하다. 따라서 MZ세대들에게 한반도에서의 평화 구축을 이해시키고 교육하기 위해서는 교육 도구로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해야 할 것이다.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평화리터러시는 첫째;객관성이 담보되어야 한다. 둘째;교육 도구의 변화가 있어야...
[학술논문] 소셜미디어 상에서의 언어 규범이 공유행위에 미치는 영향남북정상회담 트윗에 대한 다층 허들모형 분석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공유 여부와 공유 빈도는 서로 다른 기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언어학적 강도는 공유 빈도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였으며, 힘없는 언어는 정보원 수준 변인과 상호작용하여 공유 빈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언어 규범이 이용자의 공유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언어기대이론(Language Expectancy Theory)을 통해 논의하였다.
Sharing in social media is an act of communication, reflecting the social influence of the sources being shared and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