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美松里型土器文化의 動態와 分布圈
미송리형토기라는 용어는 북한학계의 조사와 연구에 의해 학술적으로 정착되어 왔다. 미송리형토기는 호라는 기종 내에서도 특정의 종류를 지칭하므로 이른바 형식의 개념으로 판단할 수 있다. 미송리형토기의 기원 및 가장 이른 형식에 대해서는 타두 적석묘, 쌍방 6호묘, 장가보 A동 34호묘, 산성자 C동 2호묘, 동산 9호묘의 호가 거론되어 왔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미송리형토기가요동의 어느 한 곳에서 발생하였다기보다는 요동반도와 요북지역에서 각기 지역색을 띠면서 거의 동시기에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권역은 고식의 미송리형토기가 출토된 요동반도, 요북지역, 그 사이의 동산유적 일대,그리고 고식은 없지만 미송리형토기가 전개된 압록강∼청천강유역과 기형적인 지역색이 뚜렷한 대동강유역이라는 다섯 개로 구분된다...
[학술논문] 청동기시대 북한지역의 초석 주거지에 대한 검토
...함을 알 수 있다. 결국 남한지역의 초석전통에 대한 이해의 정립을 위해서는 그 기원이 되는 북한지역의 초석자료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므로, 본고에서는 청동기시대 북한지역의 초석 주거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주거지에서 확인되는 초석의 사용양상과 사용맥락을 분석한 결과, 그간 남한학계의 관심을 받아온 대동강 상류지역의 주거지에서는 미송리형토기의 등장 이후에 초석이 보인다는 점과, 그런 초석이 주로 1열 혹은 3열로 설치되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청천강 상류지역의 주거지에서는 초석을 사용했던 전통을 전혀 관찰할 수 없었다. 한편, 압록강 중·상류지역과 두만강유역에서는 청동기시대의 가장 이른 단계부터 초석 주거지가 보이는데, 초석은 2열 혹은 4열로 배치되었다. 이 지역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