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桓雄天王과 檀君王儉에 대한 역사민속학적 고찰
...사학에서 단군신화라는 명칭이 고착화하게 되었다. 특히 일인 사학자들의 단군에 대한 연구가 전설과 설화로 취급하는 가운데 일본의 건국신화인 天照大神 신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桓雄神話라고 하지 않고 檀君神話라고 부르게 된 것을 알 수 있다. 일제 강점기 식민지를 극복하기 위한 민족정신을 앙양하려고 하였던 민족주의 사학자들은 단군을 민족의식의 구심점으로 삼고자 하여 단군에 주목하고 단군을 신격화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해방후 근대 국민국가 건설을 하는 과정에서 고대 국가의 건국자 단군을 국가주의적 관점에서 활용하고자 이른바 네이션빌딩 과정에서 환웅신화를 단군신화라고 부르게 된 것이라 하겠다. 한편 북한에서는 단군을 설화나 전설 또는 신화라고 하다가 1993년 소위 ‘단군릉’ 발굴 이후 인간적 존재로...
[학술논문] 백석의 동화시와 마르샤크의 동화시 비교 연구
백석이 번역한 쓰. 마르샤크의 『동화시집』은 여러 연구자들에게 언급되었으나 그 실물을 확인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최근에 백석의 번역 텍스트들이 속속 발견되면서 마르샤크의 『동화시집』도 발견되었다. 본고에서는 백석의 『집게네 네 형제』와 쓰. 마르샤크의 『동화시집』을 비교 분석하였다. 백석은 아동문학 논쟁에서 자신의 동시를 옹호하기 위해 마르샤크를 언급했으며, 마르샤크 탄생 70주년을 맞이하여 그의 생애와 그의 문학에 대해 소개하기도 했다. 그리고 마르샤크의 『동화시집』이 백석의 동화시집이 나오기 2년 전에 출간되었던 점에서 백석의 동화시 창작에 직접적인 동기가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렇기 때문에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마르샤크의 『동화시집』과 백석의 동화시를 비교 연구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이 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