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후 한국현대미술의 이념적 동인 - 1950년대 한국미술에서의 전통과 모더니즘에 대한 연구
There is no doubt that the 1950s was the upheaval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Reason for this, Korean War and the consequent political,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change occurred in the 1950s. The awareness about the world, separated from the previous period, also appeared. The 1950s is the time which should be discussed in depth on historical and art historical context. Reason for this, grabbing
[학술논문] 청계 정종여의 해방기 작품과 활동: 민족미술론의 수용과 실천
...수립되기 전까지, 이른바 해방기 미술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는 정치적 혼란으로 인한 공백기로 규정하였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식민지에서 벗어나 새로운 국가 건설과 민족미술 수립을 위해 그 어느 때보다 진지한 논의와 모색이 해방기에 이루어졌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방기에 쓰인 민족미술론에 대한 문헌을 분석하고, 월북화가 정종여(鄭鍾汝, 1914~1984)의 작품과 활동을 고찰하였다. 해방 직후 미술단체들은 민족미술의 수립을 위해 식민지 잔재와 일본색 제거, 전통미술의 계승을 공통적으로 주장했다. 그러나 정치적 입장에 따라 ‘민족미술’의 성격 규정부터 전통미술에 대한 인식, 민족 고유색을 바라보는 관점까지 차이가 많았다. 이 글에서는 정종여의 작품을 조선조형예술동맹과 조선미술동맹의...
[학술논문] 민족미술에 대한 열망: 『조선미술』 엽서집으로 본 1960년대 북한미술
...국가미술전람회》를 관람한 후 내놓은 김일성의 담화로 일단락되었고, 이 담화문은 주체성을 강조한 북한식 민족미술을 구축하는 신호탄이 되었다. 이 글은 바로 이 시기를 대표 하는 작품들로 구성된 『조선미술』 엽서집(외국문출판사, 1967)이 연구 대상이다. 1965년과 1966년 《국가미술전람회》에 서 입상한 작품들로 이루어진 이 엽서그림들은 정종여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작가들의 작품으로 구성되었다. 10점의 엽 서그림 중 8점이 채색을 적극적으로 구사한 조선화이며, 몰골법의 사용, 영웅적인 인물의 형상화, 간결한 화면구성, 박진 감 넘치는 구도로 이루어진 점이 특징이다. 구체적인 작품과 작가 분석을 통해 민족미술에 대한 열망이 어떻게 구현되었는 지 살펴본 이 글은 1960년대 북한의 미술정책 기조와 특징을 살펴보는...
[학술논문] 북한의 현대 목판화에 관한 연구 -수인목판화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북한에서 수인목판화가 사회주의 민족미술로 발전하게 된 배경과 그 주요 특징을 고찰하였다. 2017년 수인목판화기법이 북한의 국가비물질문화유산으로 등록된 이후, 수인목판화는 여전히 북한 미술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의 수인목판화가 대두하게 된 배경을 두 가지 주요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1950년대 말 북한 미술계에서 동유럽과의 교류를 통해 조선화를 민족적 양식으로 재발견하였고,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중국화의 미감을 반영한 수인목판화의 기법을 도입하려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1960년대 중반 북ㆍ중 외교갈등 속에서 북한은 민족주의를 강화하고, 주체미술론을 바탕으로 출판미술에서도 조선화화법의 도입을 요구했다. 둘째, 1991년 김정일의 「미술론」 발표 이후 북한 미술계는...
[학술논문] 초기 북한의 한국미술사 인식과 전개 - 월북미술가 김용준, 정현웅, 이여성, 박문원을 중심으로 -
해방 직후 남북 미술계의 가장 큰 논점은 일제 잔재 청산과 새로운 민족미술의 정립이었다. 북한은 1945년 노동당이 창건되고, 1948년 정부가 세워지면서 일제에 의해 훼손된 민족문화유산을 복구하고 사회주의 이념과 북한 체제에 맞춰진 미술사를 형성하였다. 북으로 간 월북미술가들은 초기 북한미술 형성과정기인 1950~60년대 미술사 서술의 기초를 닦은 인물들로 북한미술의 담론 형성과정에서도 절대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들이 지녔던 미술에 대한 확고한 신념과 예술관은 이데올로기적 요인이 중요하게 작용하였고 그들이 펼친 활동은 미술사 서술에서도 고스란히 반영되었다. 북한의 미술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현실을 반영하는 사회주의 사실주의적 전통이다. 이것은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유물사관에 입각하여 인민들의 생활 감정과 미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