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문학의 민족주의적 성격 연구-민족해방서사의 주인공과 그 변모를 중심으로
...위해서는 어떤 방식으로든 해방과 건국의 주체를 찾아야 했던 것이다. 민족해방서사는 이 주체 찾기의 요구에 따라 쓰여졌다. 이 민족해방서사에서 ‘위대한 지도자’의 존재가 관건이 된 것은 논리적인 차원에서 볼 때 제국주의와 식민지 사이의 현격한 격차 때문에 제국주의에 대한 투쟁의 승리는 불가능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체적인 차원에서 해방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양자 사이의 힘의 비대칭성을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가능성, 민족을 단결시키고 민족의 에너지를 투쟁과 건설에 집중시킬 수 있는 ‘위대한 지도자’의 존재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었다. ‘위대한 지도자’의 존재는 민족해방서사가 작동하기 위한 기본적인 조건이었던 셈이다. 조기천의 서사시 <백두산>은...
[학위논문] 북한 역사소설 연구
...겸비한다. 이 작품에 나타난 인물은 긍정적 인물과 부정적 인물로 대비되는데, 특히 개인과 사회라는 대결의 구도를 거쳐 성장하고 각성하는 인물로 혁명가형 인물이 강조된다. 반제 · 반봉건의 혁명가형 인물은 사회주의 체제가 요구하는 이상화된 인물이다. 이 작품에도 권위적인 작가의 주관적 개입으로 의론이나 연설, 토론 방식 등이 나타난다. 또한 민족 해방 서사에서 영웅의 출현을 예시하는 결론 부분은 항일무장투쟁을 신성화하고자 하는 목적론을 나타낸다. 낙관적 유토피아 지향은 작품 전달 방식을 화자 시점 서술과 단성적 어조로 흐르게 하며 한편으로는 역사로부터 현실의 교훈을 끌어들이려 하는 주관적 의도에 부합되어 역사 사실을 왜곡한다는 측면도 지니고 있다.
『대하는 흐른다』는 해방 후 북한에서 일어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