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막스 베버의 사회이론과 한반도 통일역량
...사회구성원의 동의를 창출하는 민주적 소통역량, 셋째로 정당성 확보를 위한 법제화 능력이 그것이다. 독일통일이 평화적이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던 과정도 이 세 요소를 중심으로 설명가능하다. 즉 헬무트 콜 수상이 주도한 정치적 판단과 효율적 정책결정, 다양한 주장을 용인하면서 변화를 받아들인 민주적 시민사회, 그리고 급격한 변혁의 흐름을 헌법과 법률의 틀로 제도화할 수 있었던 역량이 독일통일을 가능하게 만든 중요한 요소들이다. 한반도의 통일준비를 위해서도 세 역량을 구축하고 준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역사적 흐름과 남북한의 현실을 냉정하게 판단하면서도 미래의 가치실현을 위해 헌신하는 정치적 리더십, 갈등과 이견이 건강하게 소통되고 토론됨으로써 통합과 신뢰를 유지할 수 있는 민주적 사회역량, 그리고 법적 원리에...
[학술논문] 헌법규범과 헌법현실 - 한국헌법의 규범과 현실의 괴리문제 -
...있고 의원은 전체 국민의 대표자로서의 지위와 국가이익우선의 의무에 반하여 정당원으로서의 활동에 치중하고 있다. 대통령의 권한행사와 정부의 정책결정도 국민주권의 이념에 입각하여 항시 국민의 다수의사와 여론을 존중해야 하는데 국민과 소통하지 않고 일방적이고 폐쇄적인 인사권의 행사는 권한남용의 문제가 된다. 작금의 헌법개정논의는 정부형태에 관한 정치권의 이해관계 속에서 제시되는 것으로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의 개헌논의는 국민의 의사가 상향적으로 반영되는 민주적 절차를 통해 공론화되어야 하며 정치권에서 하향적으로 국민에게 유도하는 개헌은 허용되기 어렵다. 이원정부제 도입론만이 합리적인 정부형태의 대안으로 보기 어렵고 현행 대통령제의 점진적 개선방향을 모색하면서 궁극적으로는 남북한 통일헌법의...
[학술논문] 외교안보담론 갈등구조와 정보: 인지심리학적 분석
...장으로 변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 보수와 진보 진영 간의 극심한 안보담론 투쟁은 남북한의 통합은 커녕 남한사회의 통합도 어렵게 만들고 있다. 물론우리 한국처럼 자유민주주의를 지향하는 다원화된 사회에서 다양한 의견표출로 인한 정책토론과 노선갈등은 어쩌면 당연한 것이며 자연스러울 수 있다. 다양한 의견이 자유롭게 제기되고 비판과 수렴을 거쳐 민주적으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지난한 소통의 과정이야말로 민주사회의 특징이며 사회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한국사회에서 불거지고 있는 외교안보담론의 갈등 양상은 국론분열과 남남갈등을 걱정할 만큼 심각한 문제로 격화되고있으며 정부의 정책결정에 대한 공신력을 떨어뜨리고 정책추진의 추동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왜 우리한국사회는 유난히 외교안보담론에 대하여 서로...
[학술논문] 김대중의 변증법적 신앙과 사회선교
...삶의 자세로 사회선교를 실천하도록 힘을 공급받을 수 있었다. 김대중의 사회선교는 한국 상황에서 민중을 위해 하느님 나라의 자유와 정의와 평화를 국민의 동의와 참여를 유도하는 온건한 개혁을 통해 선취·실현하는 것이었다. 그는 기독교 관점에서 다음 세 가지 과제들을 이해하며 실행하기 위해 정치적 노력을 하였다. 즉 민주주의와 인권 실현, 경제개혁과 경제위기 극복, 그리고 햇볕정책과 남북평화이다. 그는 민주주의와 인권을 비폭력적 저항과 민주적 법적 절차를 통해 실현하려 했고, 한국경제를 공정한 시장경제 체제에 근거하여 확립시키면서도 그 한계를 정보기술산업과 생산적 복지로 보완하려 했다. 또한 그는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그리고 사회복지에 기반 한 남북통일을 위해 북한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려 했다.
[학술논문] ACTS 신학과 북한선교 -교회연합운동과 교회회복운동을 중심으로
...한국 기독교는 힘들게 건설한 경제와피로써 얻은 민주주의 모두를 지키는데 공헌해야 한다. 지키는 수준을 넘어서 성숙되게 꽃피워야 한다. 통일을 위한 거창한 준비는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정치적, 경제적으로 제대로 된 민주주의를 하는 것이다. 풍요롭되 빈부격차가 크지 않고, 자유롭되 소통이 잘 되고 건전한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매력 있는 사회로 만들어서 철이 자석에 이끌리듯 북한이저절로 우리 사회로 하나 되길 원하는, 민주적이고 보다 살기 좋은 사회로 만드는 것이 가장 기본적이고 강력한 통일준비임을 우리는 잊어서는안 된다. 우리 기독인들이 여기에 적극 참여해야 하며, 그래서 교회지도자들을 양성해야 하는 ACTS가 해야 할 일이 너무 많다. 우리 기독인은 북한과 통일문제에 있어서만큼은 기독교 사랑의 정신을...